등산 가서는 반드시 발 밑을 조심해야 하는 이유

스팟뉴스팀

입력 2015.03.20 15:55  수정 2015.03.20 16:02

최근 3년간 산악사고 사망자 63명 중 25%가 추락·실족이 원인

지난 3년간 서울 등산객 사망자 중 약 25%가 실족이나 추락사한 것으로 조사됐다.

서울시 소방재난본부는 ‘최근 3년간 산악사고 사망자 63명 분석자료’를 통해 지난 3년동안 등산 중 사망했던 사람들의 원인을 분석한 자료를 내놓았다.

조사 결과 심장질환 등 개인 질환으로 사망한 사람이 전체 사망자 63명 중 19명(30.2%)로 나타났고 그 다음으로 실족 및 추락사가 17명(26.9%)로 조사됐다. 자살기도도 11명으로 17.5%를 차지했으며 조난 및 암벽등반이 각 1명으로 1.6%였다.

산별로는 북한산이 20명(31.75%)로 사망사고가 가장 빈번하게 일어났고, 관악산 12명(19.05%), 수락산 8명(12.7%), 청계산·도봉산이 각 7명(11.1%) 였다.

산악사고 원인 중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한 것도 실족·추락이었다.

작년 한 해 서울에서 발생한 1572건의 산악사고 중 절반에 가까운 46.1%가 실족·추락 사고였다.

소방재난본부는 "등산로를 벗어난 무리한 산행이 실족이나 추락으로 인한 사고를 부를 수 있다"며 "봄을 맞아 등산을 계획하는 시민들은 안전 수칙을 유념하고 산행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0

0

기사 공유

댓글 쓰기

스팟뉴스팀 기자 (spotnews@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댓글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