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이 청와대 조직 개편과 개각을 서두르겠다는 의지를 밝히면서 지난해 '청와대 문건' 파동에서 거론된 '비서관 3인방'의 거취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여권에서는 1, 2 부속비서관실 통합 등이 이뤄질 것으로 전망하고 있어 이들 3인방의 역할조정도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이들에 대한 박 대통령의 신뢰가 여전하다는 점에서 일각에서는 뚜껑을 열어봐야 안다는 목소리도 높다. 3인방에 대한 박 대통령의 신뢰를 생각할 때 이들에 대한 역할조정이 쉽지는 않을 것이라는 판단이다.
21일 정치권에 따르면 전날 진행된 국무회의에서 박 대통령이 청와대 조직개편과 개각에 대한 의지를 천명하면서 인적쇄신이 가시권에 들어왔다는 평가가 나오고 있다.
박 대통령은 이날 국무회의에서 "지금 공석으로 있는 해양수산부 장관 등 꼭 필요한 소폭 개각을 통해서 새롭게 출발하는 계기로 삼고자 한다"며 "청와대 조직도 일부 개편을 통해 업무의 효율성을 높이고 심기일전해 일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정치권에서는 당초 쇄신안 발표가 다음달 설 직전에 발표될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했다. 그러나 박 대통령이 국무회의에서 직접 '이른 시일 내'라고 언급하면서 빠르면 다음주에 쇄신안이 발표될 수도 있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이같은 전망이 나오면서 자연스럽게 세간의 관심은 이재만 총무비서관과 정호성, 안봉근 부속비서관 등 일명 '비서관 3인방'의 거취에 쏠리고 있다. 이번 청와대 조직개편에서 이들의 거취가 어떻게 변하느냐에 따라 향후 국정운영에 대한 박 대통령의 의지를 읽을 수 있기 때문이다.
이와 관련, 박 대통령의 언급대로 개각은 소폭으로 이뤄질 것으로 전망되지만 청와대 조직개편은 큰 폭으로 이뤄질 수 있다는 이야기가 나오고 있다. 조직개편을 큰 폭으로 진행해 향후 국정운영의 동력을 회복하겠다는 의지로 읽힌다.
여권내에서는 청와대가 3인방의 업무조정을 통해 이들에게 쏟아지는 여론의 비판을 수용한다는 복안을 갖고 있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특히 적어도 이 비서관과 안 비서관은 업무조정 가능성이 클 것으로 전망된다. 아울러 1, 2 부속실 통합 방안도 거론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박 대통령이 지난 12일 신년 기자회견에서 이들에 대해 "교체할 이유가 없다"고 못박은 이후 지지율이 취임 후 최저치를 기록하면서 청와대도 이를 수용할 수밖에 없다고 판단한 것으로 보인다. 당장 이들을 내치지는 못하겠지만 업무조정을 통해서라도 대통령의 의지를 보여줘야 한다는 판단이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박 대통령이 이들에 대한 무한 신뢰를 보내고 있는 상황에서 이들의 업무조정이 쉽게 이뤄지기는 힘들 것이라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박 대통령은 지난 기자회견뿐 아니라 여러 회의에서도 이들에 대한 무한한 신뢰를 보였다. 3인방은 박 대통령이 정치에 입문하는 순간부터 지금까지 곁을 지키고 있는 사람들이다.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