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박 대통령이 2일 국무회의에 참석하기 위해 정운찬 총리, 정정길 대통령실장 등과 함께 회의실로 가고 잇다.
이명박 대통령발 ‘남북정상회담’ 발언이 연일 정국을 달구고 있다. 2일에도 이 대통령은 “정상회담을 위한 대가는 있을 수 없다는 대 전제하에 남북 정상이 만나야 한다”고 밝혔다.
이 대통령은 지난 29일 영국 BBC방송과의 인터뷰에서도 “양측 간의 화해와 협력을 위해서는 열린 마음으로 사전에 만나는 데 대한 조건이 없어야 한다”며 “그렇게 되면 언제든지 만날 수 있다”고 밝힌 바 있다. 이 때문에 이 대통령의 ‘조건’이 어떤 부분인지에 대한 해석이 많았다.
하지만 이날 이 대통령의 ‘대가’는 ‘조건’보다 좀더 구체적인 표현이다. 결국 이 대통령이 몇 번 언급했던 ‘조건 없는 만남’은 이 대통령이 밝힌 “정상회담을 위한 대가”였던 셈. 돌려 해석하면 북한이 남북정상회담을 위한 사전 실무 접촉에서 끊임없이 정상회담을 위한 ‘조건’ 즉 무엇인가 ‘대가’를 요구해왔던 것으로 볼 수 있다. 이 과정에서 남북 양측이 이견을 보이며 합의를 못하고 있다는 추측이 가능하다.
이와 관련, 여권 한 관계자는 <데일리안>과 통화에서 “남북정상회담을 했던 과거 두 정권은 북한을 구슬리기 위해 뒷돈을 주거나 국민 세금으로 북한에 퍼주기를 했지 않느냐”면서 “북한은 정상회담을 핑계로 막대한 현금과 각종 지원을 챙겼던 지난 경험으로 지금 이명박 정부에도 요구하고 있는 듯하다”고 밝혔다.
이는 청와대의 인식과도 맥을 같이 한다. 박선규 청와대 대변인은 1일 “지금까지의 남북정상회담들은, 역사가 지나면서 후에 밝혀진 문제도 있었지만 정상회담 조건 가운데 대가를 주고 받는 경우가 있었다”면서 “이는 본질적 문제를 떠나 부차적 조건을 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청와대 한 관계자는 이날 대통령 발언과 관련, “정확하게 표현하면 정상회담을 하기 위해 무엇을 주고 그러지는 않겠다는 대통령의 의지와 원칙”이라고 설명했다.
또한 그는 “정상회담 관련해 여러 이야기가 있는데 특히 대통령의 발언은 전반적으로 한꺼번에 이해해야 한다”며 “이야기 하는 자리마다 상황마다 조금씩 차이는 있지만 비핵을 전제로 한 그랜드바겐, 국군포로와 납북자 문제, 정상회담을 위한 대가는 없다는 말은 대통령이 끊임없이 해왔다”고 밝혔다.
이어 “모든 내용은 살아있다. 특히 국군포로와 납북자 문제가 슬며시 사라지든가 그러지는 않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데일리안 = 동성혜 기자]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