졸속 추진 주장하는 당내 반발 비등하자
뒤늦게 수습 국면…TF 가동·토론 진행
최고위원 사퇴시한 이틀 뒤 중앙위 표결
반대 최소화를 위한 정치적 계산일까?
정청래 더불어민주당 대표 ⓒ뉴시스
정청래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대의원·권리당원 1인 1표제 도입을 강하게 추진하고 있다. 절차상 논란으로 일부 의원·당원들이 반발하자 뒤늦게 의견 수렴에 나서며 형식적 정비에 나선 모습이다.
다만 이언주 최고위원이 추진 과정의 문제를 공개적으로 지적한 가운데, 1인 1표제 도입이 최종 결정되는 중앙위원회 표결이 최고위원 사퇴 시한 이틀 뒤인 12월 5일로 잡히면서 표결 결과에 더욱 관심이 쏠리고 있다.
'대의원 역할 재정립을 위한 태스크포스(TF)'는 27일 첫 회의를 열어 1인 1표제 도입에 따른 보완책을 논의했다. 대의원 TF는 대의원제를 사실상 폐지하는 데 따라 취약지역 지원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만들어진 조직이다. 강득구·윤종군 등 1인 1표제 전환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를 냈던 의원들을 중심으로 구성됐다.
TF 부단장인 이해식 의원은 이날 회의 후 기자들과 만나 "김대중 대통령 때부터 당을 지켜온 분들이 주로 대의원으로 많이 활동 중이라 그 분들에 대한 배려가 있어야 하지 않느냐는 의견이 있는 것이 사실"이라며 "1인 1표제를 못 박는 고정에서 구체적인 보완 방안이 무엇인지에 대한 이야기를 나눴다"고 했다.
이 의원은 이날 회의에서 제안된 아이디어들에 대한 중앙위원들의 의견을 들어보겠다는 방침이다. 그리고 내달 1일 오후 2시 당사에서 1인 1표제 보완 방안에 대한 공개토론회를 생중계로 진행한다.
다만 보완 방안은 중앙위 개최일인 12월 5일이 아닌 그 이후에 추가 당헌·당규 개정 작업을 통해 반영할 계획이다. 중앙위 당일에는 1인 1표제를 포함한 기존 당헌·당규 개정 안건만 처리하기로 했다.
이 의원은 "12월 5일 안건은 이미 당무위원회에서 결정돼서 부의돼있다. 이건 바꿀 수가 없다"고 했다. 이어 "다만 조금 더 숙의가 필요하거나 보완이 필요한 것들은 의견을 취합해 추가적인 당헌·당규 개정으로 이어져야 한다"고 덧붙였다.
일각에선 중앙위 표결 날짜를 12월 5일로 설정함에 따라 1인 1표제를 추진하는 정청래 대표에게 유리한 결과가 나올 것이란 관측이 제기된다. 1인 1표제에 부정적인 입장을 가지고 있는 최고위원이 지방선거 출마를 위해 중앙위 개최 전 사퇴하면 표결 직전 예상치 못한 잡음을 차단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정 대표가 의도적으로 중앙위 표결 날짜를 12월 5일로 설정한 것이 아니냐는 목소리도 나온다.
반대로 1인 1표제에 문제 의식을 가지고 있는 최고위원이 지방선거 출마 의사가 없어 사퇴하지 않고 중앙위 표결 전 문제제기를 이어가거나, 1인 1표제에 반대한다는 이유로 사퇴할 경우 중앙위원들의 표심에 미묘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 경우 1인 1표제에 대한 반대표가 늘어나고 반(反)정청래-친(親)정청래 구도의 계파 갈등이 심화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0
0
기사 공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