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생제 내성 대응 새 전략은?…2026~2030년 대책안 첫 논의

박진석 기자 (realstone@dailian.co.kr)

입력 2025.11.26 13:00  수정 2025.11.26 13:00

질병관리청 전경. ⓒ데일리안DB

정부가 사람과 동·식물, 식품, 환경을 아우르는 항생제 내성 관리 새 대책의 밑그림을 공개했다. 높은 항생제 사용량과 내성률을 개선하기 위해 범부처가 참여하는 통합 대응 전략을 마련하는 과정으로 공청회에서 의견 수렴이 시작됐다.


질병관리청은 26일 서울가든호텔에서 ‘제3차 국가 항생제 내성 관리대책(2026~2030)’ 공청회를 열었다. 이번 공청회는 제2차 대책이 2025년에 종료되는 만큼 다음 5년간 추진될 국가 계획안을 처음 공개하는 자리다.


항생제 내성은 감염 치료 실패와 사망 증가를 일으키는 주요 공중보건 위협으로 세계보건기구(WHO)는 2019년 10대 건강위협 요인으로 지정했다. 우리나라도 항생제 사용량이 높아 대응 강화가 필요한 상황이다.


제3차 대책의 비전은 사람과 동·식물, 식품, 환경 전 영역에서 항생제 내성을 관리해 지속가능한 건강을 확보하는 것이다.


목표는 항생제 사용량 감소를 통한 치료 효능 보호와 적극적 감염예방을 통한 내성 최소화다. 이를 위해 4대 핵심 분야로 항생제 사용 최적화, 내성균 발생 예방, 전략적 정보·혁신, 거버넌스·인식개선을 제시했다.


공청회에서는 대책안 발표 뒤 전문가 패널토의가 이어졌다. 인체 분야와 비인체 분야 전문가들이 항생제 전주기 관리 필요성과 각각의 현황을 논의하며 정책 방향에 대한 의견을 제시했다.


질병청은 공청회에서 제기된 의견을 관계부처와 협의·보완 후, 감염병 관리위원회의 심의 등을 거쳐 12월 말 최종 확정·발표할 계획이다. 이후 확정된 제3차 대책은 2026년 1월부터 본격 시행된다. 매년 추진성과를 점검할 예정이다.

0

0

기사 공유

댓글 쓰기

박진석 기자 (realstone@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관련기사

댓글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