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일 한-아세안 정상회의 모두발언
"2029년 '특별정상회의' 한국 개최"
"韓, 아세안의 성장 도약대 될 것"
이재명대통령이 27일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 컨벤션센터에서 열린 한-아세안 정상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재명 대통령이 최근 캄보디아에서 불거진 조직적인 범죄 현상을 두고 "한국 경찰청은 아세아나폴과 수사 공조를 통해 조직적 범죄 단지를 근절하고 초국가 범죄가 이 지역에서 더 이상 발붙일 곳이 없도록 협력을 강화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이 대통령은 27일 오전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컨벤션센터(KLCC)에서 열린 한·아세안 정상회의에서 모두발언을 통해 "법 집행 사각지대인 국경 지역을 중심으로 스캠센터 등 조직적 범죄 단지가 확산되고 있고, 안타깝게도 많은 청년이 초국가 범죄의 희생양이 되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어 "한국은 아세안의 평화와 안정의 파트너가 될 것"이라며 "초국가 범죄를 비롯해 해양 안보, 재난, 재해 등 역내 평화와 안정에 보다 적극적으로 부응함으로써 회복력 있는 공동체 형성에 협력 기반을 확대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아울러 "아세안 차원에서의 긴밀한 형사 사법 공조를 통해 문제 해결을 모색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 대통령은 "한국에는 '이웃사촌'이라는 말이 있다"며 "기쁠 때나 어려울 때나 함께하는 이웃은 피를 나눈 친척과도 같다는 말로서, 저는 한-아세안 관계가 이웃사촌과 같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지난 30여년간 아세안과 한국의 인적 교류는 급속히 확대돼 아세안은 매년 1000만명의 한국인이 방문하는 중요한 지역이 됐다"며 "금융 위기와 팬데믹, 자연재해 등이 닥칠 때마다 힘을 모아 위기를 극복해 온 자랑스러운 경험이 있는 만큼, 한·아세안은 미래 발전을 함께 도모하는 이웃"이라고 했다.
또한 "아세안은 한국의 3대 교역 대상이자 한국은 누적 85억 달러에 달하는 ODA(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공적개발원조)를 통해 아세안의 미래에 투자했다"며 "한국 기업은 자동차를 비롯해 철강, 전자 등 분야에서 아세안의 산업화와 경제 성장을 견인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 대통령은 한·아세안이 지난해 대화관계 수립 35주년을 맞이해 최고 단계 파트너십인 '포괄적 전략 동반자 관계'(CSP)를 수립한 것을 언급, "지난 30주년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에서의 공감대를 바탕으로 한-아세안 관계 40주년인 오는 2029년에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 한국 개최를 준비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이 대통령은 "CSP가 한·아세안 관계를 규정하는 구호를 넘어서 각국 국민에게 실질적인 혜택을 가져다줄 것"이라며 아세안에 대한 세 가지 정책 비전을 제시했다.
먼저 "한국은 아세안의 꿈과 희망을 이루는 조력자가 될 것"이라며 "한·아세안 연간 상호 방문 1500만명 시대를 열고 사람 중심의 아세안 공동체 형성에 기여하겠다"고 약속했다.
이어 "한국은 아세안의 성장과 혁신의 도약대가 될 것"이라며 "이제 한-아세안 간 연간 교역액 3000억 달러 달성을 향해 나아가겠다"고 했다.
나아가 "한국은 아세안의 평화와 안정의 파트너가 될 것"이라며 "한국은 초국가범죄, 해양 안보, 재난, 재해 등 역내 평화와 안정 수요에 보다 적극적으로 부응함으로써 회복력 있는 공동체 형성에 협력 기반을 확대하겠다"고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내가 제시한 이 세 가지 비전은 '아세안 공동체 비전 2045'에서 지향하는 사람 중심의 아세안 공동체, 혁신적·역동적 아세안 공동체, 회복력 있는 아세안 공동체 비전과도 긴밀하게 연결된다"며 "오늘 동료 정상과 국제질서 변환기, 한-아세안 협력의 미래 방향에 대해 함께 고민하고 논의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0
0
기사 공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