첫 손상관리종합계획 확정…자살·교통사고·낙상 집중 관리

박진석 기자 (realstone@dailian.co.kr)

입력 2025.09.24 15:00  수정 2025.09.24 15:00

질병관리청 전경. ⓒ데일리안DB

질병관리청이 손상으로 인한 사망과 입원을 줄이기 위한 첫 국가 차원의 종합계획을 확정했다. 자살, 교통사고, 낙상 등 주요 손상 원인을 중점 관리하고 생애주기별 맞춤형 대책을 추진하는 것이 핵심이다.


질병청은 24일 국가손상관리위원회 의결을 거쳐 ‘제1차 손상관리종합계획(2026~2030)’을 발표했다. 손상은 암·심장질환·폐렴에 이어 국내 사망 원인 4위이자 입원 원인 1위다.


전체 질병 가운데 사회경제적 비용 부담도 가장 크다. 손상으로 인한 연간 비용은 약 21조원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된다.


이번 종합계획은 ‘손상 걱정 없는 건강한 사회’를 비전으로 5대 추진전략, 16개 추진과제, 44개 세부과제로 구성됐다.


정부는 손상사망률을 2023년 인구 10만 명당 54.4명에서 2030년 38.0명으로 낮추고 비의도적 손상 입원율도 같은 기간 2113명에서 1930명으로 줄이는 것을 목표로 삼았다.


우선순위 관리대상은 자해·자살, 교통사고, 추락·낙상으로 정해졌다. 영유아기 아동학대 예방, 청소년 자해·자살 조기 개입, 산업재해와 화학물질 손상 방지, 노인 낙상·자살 예방 등 생애주기별 맞춤 대책도 담겼다.


또 응급상황 대응 역량을 강화해 중증외상환자 생존율을 높이고 회복·재활 지원을 체계화한다. 재활병원 확충, 심리 지원 프로그램 운영 등 후유장애 관리 대책도 추진된다.


이와 함께 손상통합정보관리시스템을 구축해 국가 단위 감시체계를 고도화하고 중앙·지역 손상관리센터 설치와 전문 인력 양성으로 정책 추진 기반을 마련한다.


임승관 질병청장은 “손상은 일상생활 중에 발생하는 우연한 사건이 아닌 예방 가능한 건강 문제”라면서 “관계기관 간 긴밀한 협업을 통해 손상 발생 이전부터 이후까지의 전 과정을 포괄하는 예방·관리 체계를 구축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0

0

기사 공유

댓글 쓰기

박진석 기자 (realstone@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관련기사

댓글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