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일 파업 참여율 미미…영업 지장 없어
총파업 외쳤지만, 국민도·은행원도 ‘외면’
전국금융산업노조(금융노조)가 지난 26일 총파업에 나섰다. 이번 파업은 2022년 9월 이후 3년 만이다.
요구 조건은 ‘주 4.5일 근무제 도입’과 ‘임금 5% 인상’. 이른바 ‘노동시간 단축 없는 임금 보전’을 요구하고 나섰다.
국민 대다수가 고용 불안과 물가 상승에 씨름하는 현실 속에서 억대 연봉을 받는 은행원들이 내놓은 투쟁 명분은 과연 설득력이 있을까.
노조는 저출생·돌봄 공백 등 국가적 위기를 내세우며, 노동시간 단축은 사회적 의무라고 주장한다.
하지만 국민들은 고개를 갸웃거린다. 금융권 직원 평균 연봉은 이미 1억원을 웃돈다. 누구보다 안정된 일자리를 지닌 이들이 임금 인상까지 덧붙여 파업 카드를 꺼내드는 모습은 서민의 눈에 ‘귀족 노조’의 배부른 투정으로 비칠 수밖에 없다.
서민 경제는 고금리와 물가 부담에 신음한다. 비정규직 등을 포함한 노동자들은 일감을 놓칠까 하루하루를 버틴다.
이런 현실에서 은행 노조의 요구는 차라리 ‘딴 세상 이야기’에 가깝다. 국민적 시선이 싸늘한 건 당연하다.
“국민적 지지에 힘입어 현실화하겠다”는 노조의 말은 정작 국민 여론과 거리가 멀어 보인다. 대다수 국민은 임금 삭감 없는 단축 근무를 ‘특권층의 특혜 요구’로 보고 있다.
게다가 은행 창구가 닫히면 가장 불편을 겪는 건 디지털 금융에 익숙하지 않은 노년층이다. 단축된 근무시간과 파업으로 인한 업무 차질은 고스란히 국민 몫이다.
임금은 줄이지 않고 근무만 줄이겠다는 주장은 결국 국민이 감당해야 할 비용으로 이어진다. ‘국민 편의’는 뒷전이고, ‘노조 이익’만 앞세운 계산법이다.
더 기묘한 건 정치적 타이밍이다. 정부 여당이 주 4.5일제를 국정 과제로 내세운 상황에서, 금융노조의 파업은 마치 ‘정치적 밀어주기’라도 하려는 듯한 모양새다.
노동권 보장을 포장지로 씌웠지만, 실상은 정치적 계산과 맞물린 자기 이익 챙기기에 불과하다는 지적을 피할 수 없다.
노동권 보장은 중요하다. 그러나 사회적 책임과 국민 눈높이 역시 외면할 수 없는 가치다. 지금 금융노조가 내놓은 파업 명분은 이 두 가지 모두에 어긋난다. ‘귀족 노조’라는 꼬리표가 괜히 붙은 게 아니다.
결국 총파업이라지만 실제로는 ‘반쪽짜리 파업’이었다. 이날 정작 대형 은행 창구는 평소처럼 영업을 이어갔고, 파업 안내문조차 붙지 않았다.
은행 내부 직원들조차 금융노조가 내세운 파업 명분에 공감하지 않는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사회적 지지는 고사하고, 내부 결집조차 이끌어 내지 못했다.
총파업을 결의한 10만 금융노조원에게 되묻고 싶다. 과연 이 싸움은 누구를 위한 것인가. 정말 대한민국의 모든 노동자를 위해서인가, 아니면 자신들만을 위한 것인가.
0
0
기사 공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