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병기 ‘특검법 합의 논란·투톱 갈등’에 “심려 끼쳐 죄송”
더불어민주당 김병기 원내대표가 13일 국민의힘과 3대 특검법 개정안을 수정하기로 합의하면서 당내에서 강한 비판을 받은 것과 관련해 SNS에 “심려를 끼쳐 죄송하다”고 밝혔다. 김 원내대표는 또 “심기일전해 내란 종식과 이재명 정부의 성공을 위해 분골쇄신하겠다”고도 덧붙였다.
앞서 김 원내대표는 10일 국민의힘과의 3대 특검법 개정안에서 추가로 수사 기간을 연장하지 않고 인력 증원도 최소화하는 방향으로 민주당의 3대 특검법 개정안을 수정키로 합의했다. 이에 대해 당 강경 지지층과 강경파 의원은 물론 정청래 대표까지 ‘수용 불가’ 입장을 공개적으로 밝히면서 협상에 따른 비난을 집중적으로 받았다.
이 과정에서 김 원내대표는 지도부간 협의 등이 있었음에도 자신에만 책임이 몰리는 것에 반발하면서 “정청래한테 사과하라고 해”라고 말하면서 여당 투톱 간 갈등이 노출되기도 했다.
인천 대청도 해병부대서 21세 병장 총상으로 사망
인천 대청도 해병부대에서 21세 해병 병장이 머리에 총상을 입고 사망했다. 군에 따르면 13일 오전 인천 옹진군 대청도 소재 해병부대에서 해안선 정밀수색작전에 투입된 수송병 병장 1명이 운전석에서 이마에 총상을 입고 피를 흘리는 상태로 발견됐다. 이 병장은 발견 당시 출혈로 위중한 상태였으며, 응급 처치 및 후송 준비 중 오전 9시 1분 공중보건의에 의해 최종 사망 판정을 받았다. 총상 사고 시간은 7시 3분께로 추정된다고 해병대는 전했다.
사용된 총탄의 종류는 실탄으로 확인됐으며, 오발이었는지 등 사고 원인은 아직 파악되지 않았다. 해병대사령부는 “정확한 사고 원인 조사를 위해 군 수사기관과 경찰이 현장 합동감식을 하려고 이동 중”이라고 밝혔다.
‘조선인 노동 강제성’ 또 뺐다…‘반쪽’ 행사로 그친 日 사도광산 추도식
일제강점기 조선인 강제노역 현장인 니가타현 사도광산 인근에서 13일 열린 ‘사도광산 추도식’에서 올해도 일본 정부 대표의 ‘조선인 노동의 강제성’ 언급은 없었다. 일본 사도광산 추도식 실행위원회는 이날 오후 1시 30분께 사도섬 서쪽에 위치한 사도시 아이카와개발종합센터에서 ‘사도광산 추도식’을 진행했다. 행사엔 72명이 참가했는데, 일본 정부를 대표해 참가한 인사는 작년 차관급인 정무관에서 올해 국장급으로 격이 낮아졌다.
일본 정부 대표로 참석한 오카노 유키코 외무성 국제문화교류심의관은 “광산 노동자 중에는 한반도에서 온 많은 분도 포함됐다”며 “한반도에서 온 노동자들은 전쟁이라는 특수한 상황이라고 해도 고향에서 멀리 떨어진 토지에서 사랑하는 가족을 생각하면서 갱내의 위험하고 가혹한 환경에서 힘든 노동에 종사했다”고 말문을 열었다. 이어 “전쟁이 끝날 때까지 고향에 돌아가지 못하고 유감스럽게도 이 땅에서 돌아가신 분도 계시다”면서 “모든 시대, 모든 사도광산 노동자의 노고를 생각하면서 돌아가신 모든 분에 대해 진심으로 애도의 뜻을 표한다”고 덧붙였다. 사실상 지난해와 다를 바 없는 문구로, 당시에도 일본 정부 대표는 조선인의 노동 강제성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았다.
한국은 지난해 11월 추도사 내용과 행사 명칭 등이 미흡하다고 판단해 행사 직전 전격적으로 불참을 결정했고, 올해 역시 추도식을 두고 논의했으나 조선인 노동의 강제성이 충분히 담기지 않을 것으로 판단해 이달 초 불참을 통보했다. 한국 정부는 올해도 자체 추도식을 열 예정이다.
0
0
기사 공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