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 GEF와 ‘제2차 글로벌 투명성 포럼’ 개최…BTR 경험 공유

장정욱 기자 (cju@dailian.co.kr)

입력 2025.09.02 12:01  수정 2025.09.02 12:01

국제기구 등 150여 명 참석

제2차 글로벌 투명성 포럼 포스터. ⓒ환경부

환경부는 3일부터 5일까지 인천 송도컨벤시아에서 ‘지구환경금융(GEF)’과 공동으로 제2차 글로벌 투명성 포럼을 개최한다.


행사는 파리협정 제13조에 따른 강화된 투명성 체계(ETF)를 효과적으로 이행하기 위해 마련했다. 세계 85개국 개도국 공무원과 주요 국제기구, 다자개발은행 관계자 등 150여 명이 참석한다.


행사는 ‘변화를 위한 투명성, 제도 강화와 이행 의지 제고’라는 주제로 각국이 첫 번째 격년투명성보고서(BTR)를 작성하며 쌓은 경험과 교훈을 공유한다.


투명성은 온실가스 감축 실적을 객관적으로 평가하고 국제적 신뢰를 구축하는 핵심 도구로 BTR은 각국이 제출한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NDC) 이행 여부를 점검하고, 국제탄소시장에서 발생하는 감축분을 검증하는 근거로 활용된다.


이번 행사는 바로 이러한 투명성 보고와 검토를 정책·투자·협력으로 연결하는 국제적인 논의의 장이다.


3일에는 개도국과 선진국 대표가 함께 참여하는 고위급 대화가 열린다. 이 자리에는 정은해 환경부 국제협력관이 우리 정부를 대표해 토론자로 나서 우리나라 투명성 제도 경험을 공유하고, 국제사회의 협력과 실천 강화를 강조한다.


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에서는 우리나라 격년투명성보고서 준비과정에서 경험한 성과와 과제, 향후 제도개선 방안에 대해 발표한다.


2035 NDC 설계와 관련해 정책과 투자 연계 방안, 기후 재원 활용 및 국제협력 사례 등을 논의한다.


같은 날 열리는 ‘투명성 바자회’에서는 각국 정부와 국제기구 관계자들이 프로그램·재원·기술을 연계하는 협력 방안을 모색한다.


우리나라를 포함한 각국이 투명성 제도화 사례를 발표하고 이를 통해 다른 국가들에 적용할 수 있는 모범사례를 발굴한다. 이어 GEF 등 국제기구에서는 개도국 투명성 역량 강화를 위한 글로벌 프로그램과 향후 자원 활용계획을 소개한다.


정은해 환경부 국제협력관은 “투명성은 단순한 보고 의무를 넘어 국가 간 신뢰를 구축하고 기후 행동을 가속화하는 핵심 기반”이라며 “이번 행사가 각국의 경험과 도전을 공유하고, 새로운 협력과 투자를 창출하는 출발점이 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0

0

기사 공유

댓글 쓰기

장정욱 기자 (cju@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관련기사

댓글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