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월 사업체 종사자 2029만7000명…건설업 부진 소폭 완화

김성웅 기자 (woong@dailian.co.kr)

입력 2025.08.28 12:51  수정 2025.08.28 12:51

고용부, ‘7월 사업체노동력조사’ 결과 발표

2025년 7월 사업체노동력조사. ⓒ고용노동부

지난 7월 국내 사업체 종사자 수는 지난해 같은 달과 비슷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건설업 고용 부진은 소폭 완화되는 모습이나, 지난해 6월 이후 13개월 연속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고용노동부가 28일 발표한 ‘7월 사업체노동력조사’에 따르면, 7월 말 기준 종사자 1인 이상 사업체 종사자 수는 2029만7000명으로 전년 동월과 같다.


종사자 지위별로는 상용 근로자는 작년 같은 달보다 3000명 늘어난 1704만3000명이다. 임시일용근로자는 196만6000명으로, 1만7000명 증가했다. 반면 기타종사자는 2만명 줄어든 128만8000명이다.


규모별로는 상용 300인 미만은 1680만3000명으로 2만9000명(-0.2%) 감소했고 300인 이상은 349만4000명으로 2만9000명(0.8%) 증가했다.


산업별 종사자는 별 증가 폭이 컸던 곳은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 8만5000명(3.5%), 운수 및 창고업 1만4000명(1.8%), 전문·과학 및 기술서비스업 1만4000명(1%) 순이었다.


건설업 종사자는 7만9000명(5.4%) 감소했다. 도매 및 소매업, 숙박 및 음식점업은 각각 3만5000명(-1.5%), 1만5000명(-1.2%) 감소했다.


입직자와 이직자는 모두 감소했다. 7월 중 입직자는 98만2000명으로 전년 동월 대비 4만5000명(-4.4%) 줄었고, 이직자는 96만3000명으로 5만8000명(-5.6%)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채용도 줄었다. 산업별로 보면 숙박 및 음식점업(12만1000명)이 1만4000명(-10.1%) 감소했다. 도매 및 소매업(6만8000명)도 8000명(-10%)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2025년 7월 사업체노동력조사. ⓒ고용노동부

올해 상반기 월평균 명목 임금은 417만9000원으로 전년 동기(403만2000원) 대비 3.6%(14만6000원) 올랐다. 물가수준을 반영하면 359만7000원이다. 전년 동월(354만3000원)보다 1.5%(5만4000원) 증가했다.


지난 6월 기준 1인 이상 사업체의 근로자 1인당 명목임금은 397만1000원으로 전년 동월(386만1000원) 대비 2.8%(11만원)증가했다.


물가 수준을 반영한 1인당 실질임금은 341만4000원으로 전년 동월(339만2000원) 대비 0.7%(2만3000원) 증가했다.


상용근로자 1인당 임금총액은 422만2000원으로 전년 동월대비 11만4000원(2.8%) 증가한 반면, 임시 일용근로자 임금 총액은 170만7000원으로 5만1000원(-2.9%) 감소했다.


2분기 1인당 월평균 근로시간은 153.2시간으로 전년 동기 대비 0.2시간(-0.1%) 감소했다.


상반기 월평균 근로시간은 150.9시간으로 월력상 근로일수가 전년 동기 대비 3일 감소한 결과 3.2시간(-2.1%) 줄어든 것으로 집계됐다.


한편 이날 고용부는 '2025년 4월 지역별사업체노동력조사' 결과도 발표했다.


결과에 따르면 사업체 종사자 수가 가장 많은 곳은 서울 강남구로 72만3000명이다. 가장 적은 곳은 경북 영양군(3만9000명)이다.


종사자 수 증가율은 경기 과천시(13.9%), 강원 양구군(3.6%) 순으로 높았고 서울 마포구(-2.8%), 구로구(-2.6%) 순으로 낮았다.


특히 서울 마포구와 구로구는 건설업을 중심으로 종사자가 줄어든 것으로 파악됐다.


아울러 입직률과 이직률이 가장 큰 곳은 전남 여수시(14.4%, 16.1%)로 나타났다. 여수시도 건설업을 중심으로 입·이직률이 높은 것으로 확인됐다.

0

0

기사 공유

댓글 쓰기

김성웅 기자 (woong@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관련기사

댓글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