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 최악 피했으나 여전히 불안…투자 시각도 달라" [한미 관세협상]

정인균 기자 (Ingyun@dailian.co.kr)

입력 2025.07.31 17:40  수정 2025.07.31 18:00

"특히 자동차·반도체 업계, 한숨 돌려"

한국 협상단이 지난 29일 미국 상무부에서 하워드 러트닉(왼쪽 가운데) 상무장관과 통상협의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한국과 미국의 무역 협상 타결을 두고 “최악은 피했으나 불안감은 여전하다”는 평가가 나왔다.


뉴욕타임스(NYT)는 30일(현지시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발표한 관세 25%가 그대로 부과됐으면 최악이었을 것”이라면서도 “3500억 달러(486조원) 규모를 투자하기로 약속한 만큼 경제적 타격이 뒤따를 것이다”고 분석했다. 그러면서 “한국은 국내총생산(GDP)의 44%를 수출에 의존하는 국가다. 관세율이 15%로 내려갔으나 여전히 경제에 큰 영향을 줄 수 있다”고 덧붙였다.


미국 투자은행 모건스탠리는 “한국의 관세 위험도가 제거돼 조금 안도하게 됐다. 이번 무역 합의로 위험도는 확실히 내려갔다”며 “특히 자동차나 반도체 분야에서 한국은 다른 경쟁국과 동등한 위치에 놓이게 됐다”고 밝혔다. 이어 “무역 협상에 대한 불확실성이 해소된 만큼 한국 정부는 성장 전망치를 상향 조정할 가능성이 크다”고 부연했다.


미 CNN 방송 또한 “예정됐던 관세(25%)가 부과됐다면 한국에 재앙이었을 것”이라며 “15%의 관세는 한국의 수출을 늘리고 시장에 안도감을 가져다줬다. 장기적인 위험에 대한 투자자들의 우려도 감소됐다”고 평가했다.


한편 미 CNBC 방송은 한국이 미국에 투자하기로 한 3500억 달러를 각 정부가 달리 해석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CNBC는 “이재명 대통령은 1500억 달러를 미국 조선업에 진출하는 자국 기업을 위한 투자라고 설명했으나 트럼프 대통령은 한국의 투자금을 ‘내가 직접 통제할 것’이라고 밝혔다”며 “하워드 러트닉 상무장관 또한 ‘이익의 90%가 미국인에게 돌아갈 것’이라고 말했다. 이는 양측의 시각에 큰 차이가 있는 것”이라고 전했다.

0

0

기사 공유

댓글 쓰기

정인균 기자 (Ingyun@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관련기사

댓글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