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연금공단이 연금수급자의 이상 징후를 수도 사용량으로 포착하는 시스템을 도입한다. 고령 수급자 중 사회적으로 고립된 사례를 조기에 발견하고 수급권 변동을 보다 정확히 확인하기 위한 조치다.
연금공단은 15일 한국수자원공사와 업무협약을 맺고 수도 사용 데이터를 연금수급권 확인과 돌봄 지원에 활용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수도 사용량이 급감하거나 장기간 중단된 수급자에 대해선 수급권 확인조사가 이뤄진다. 이와 함께 생필품 지원, 말벗 서비스 등 사회공헌 프로그램과 연계한 복지지원 체계도 마련한다.
이번 사업은 수자원공사가 상수도 관리를 맡고 있는 전국 22개 지방자치단체 가운데 고령 수급자 비율이 높은 정읍시, 거제시 등 5개 지역에서 시범 운영된다. 연금공단은 매월 수도 사용정보를 수집·분석해 제도의 정확도를 높이고 대상 지역도 점차 확대해나갈 계획이다.
정태규 연금공단 연금이사는 “이번 협약은 국민연금 급여의 정확한 집행뿐 아니사회적 돌봄 공백해소를 위한 데이터 기반 복지모델로서 의미가 크다”며 “앞으로도 다양한 기관과의 협력을 통해 수급자의 권익을 보호하고 복지 향상을 도모하는 제도적 기반을 확대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0
0
기사 공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