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검팀, VIP 격노설 제기된 2023년 7월 31일 회의 참석자 총 7명으로 특정
윤석열 전 대통령 비롯해 조태용 전 국정원장, 김태효 전 안보실 1차장 등 참석
김용현 회의 참석 경위 비롯해 채상병 사건서 어떤 역할 했는지 조사 계획
채상병 사건 수사방해 의혹을 수사하는 이명현 특검팀이 이른바 'VIP 격노' 회의에 윤석열 전 대통령의 최측근이자 12·3 비상계엄을 함께 주도한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이 배석한 사실을 포착한 것으로 전해졌다.
14일 법조계에 따르면 특검팀은 VIP 격노설이 제기됐던 지난 2023년 7월 31일 회의 참석자를 총 7명으로 특정해 수사를 진행하고 있다.
현재까지 알려진 참석자는 회의를 주재한 윤 전 대통령을 비롯해 조태용 전 국정원장(당시 국가안보실장), 김태효 전 안보실 1차장, 임기훈 전 국방비서관, 이충면 전 외교비서관, 왕윤종 전 경제안보비서관 등 6명이다.
여기에 더해 김 전 장관도 이날 회의에 참석한 정황을 특검팀은 확인한 것으로 알려졌다. 육군 중장으로 예편한 김 전 장관은 윤 전 대통령의 충암고 선배로, 윤 전 대통령의 최측근이자 정권 실세 중 한 명으로 꼽혔다.
김 전 장관은 채상병 사건 조사결과를 경찰로부터 회수하고 군검찰이 박정훈 해병대 수사단장을 '집단항명수괴' 혐의로 본격적으로 수사하던 당시인 2023년 8월 4일부터 7일까지 이종섭 당시 국방부 장관과 긴밀하게 통화나 문자를 주고받은 것으로 전해졌다.
특검팀은 김 전 장관에 대한 소환 조사가 불가피하다는 입장으로 알려졌다. 특검팀은 당시 경호처장 신분이던 김 전 장관이 이날 회의에 참석한 경위를 비롯해 당시 김 전 장관이 이후 채상병 사건 이첩 보류 및 조사결과 수정 과정에서 어떤 역할을 했는지 등을 조사할 계획이다.
김 전 장관은 윤석열 정부 출범 직후 대통령 경호처장에 임명됐고, 채상병 사건 이듬해인 2024년 9월 국방부 장관에 임명됐다.
그는 윤 전 대통령과 함께 '12·3 비상계엄' 사태를 주도해 현재 내란 중요임무 종사 등 혐의로 구속돼 재판받고 있다.
0
0
기사 공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