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렌트유·WTI 나란히 7%대 하락
중동 지역 추가 확전 우려 완화 영향
미국 최대 셰일오일 생산지인 텍사스의 시추 시설. ⓒ연합뉴스
미국의 이란 공습에 대한 이란의 보복 공격이 주변국 주둔 미군 기지에 한정되고, 이스라엘과 이란의 휴전 합의 소식 등이 전해지자 국제유가가 7% 넘게 급락했다.
23일(현지시간) 런던 ICE선물거래소에서 브렌트유 선물 근월물 종가는 배럴당 71.48달러로 집계됐다. 이는 전장 대비 5.53달러(7.2%) 급락한 수준이다. 뉴욕상업거래소에서 서부텍사스산원유(WTI) 선물 근월물 종가는 배럴당 68.51달러로 전장 대비 5.33달러(7.2%) 떨어졌다.
미국이 이란의 핵시설 3곳을 공습하고, 이에 이란이 대응해 보복 조치를 예고한 가운데 미국을 향한 이란의 보복 공격이 절제된 양상을 보이자 중동 지역 추가 확전에 대한 우려가 완화된 영향으로 풀이된다.
브렌트유 가격은 이날 아시아 시장에서 거래가 개시된 직후 배럴당 80달러선을 돌파하기도 했다. 하지만 중동 지역 원유 공급 우려가 완화하면서 안정을 되찾았다.
이란은 이날 오후 카타르와 이라크의 미군기지를 향해 미사일을 발사했다. 미군이 지난 21일 이란의 핵시설 3곳을 공격한 데 대한 보복 공격이었다.
미국 뉴욕타임스(NYT)는 “이란이 카타르 미군 기지 공격 전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카타르 정부에 계획을 미리 알리고 조율했다”고 이란 당국자들을 인용해 보도했다. 블룸버그는 “이날 이란의 공격이 사전에 충분히 예고됐다”며 “테헤란이 긴장 완화의 길을 열어두면서도 상징적인 무력시위를 의도했음을 시사한다”고 평가했다.
앞서 월가에서는 이란이 글로벌 원유 주요 수송로인 호르무즈 해협을 완전히 봉쇄하고 분쟁이 중동 전역으로 확전하는 최악의 시나리오가 발생할 경우, 국제유가가 배럴당 130달러로 치솟을 수 있다고 경고한 바 있다.
한편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이란 핵 시설 기습공격에 대한 후폭풍으로 유가 상승 우려가 엄습하는 것과 관련해 미국 내 기름값 인상 차단에 나섰다. 그는 이날 소셜미디어(SNS) 트루스소셜에 “모두 석유 가격을 낮춰라. 내가 지켜보고 있다”고 적었다.
0
0
기사 공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