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장잔GO] "정부가 돈 불려준대"…대선 후 공략할 청년적금통장은?

정지수 기자 (jsindex@dailian.co.kr)

입력 2025.05.29 07:32  수정 2025.05.29 08:11

금리 하락기, 이자 외 혜택 찾는 청년들

정부 지원금·비과세 '혜택형 저축' 주목

자산 형성 공약 '봇물'…꼼꼼히 따져야

ⓒ데일리안

시중은행의 예·적금 금리 하락세가 이어지자 '혜택형 저축통장'으로 눈을 돌리는 청년들이 늘고 있다. 이자 수익에 더해 정부 지원금, 비과세 혜택, 우대 조건 등을 챙기면 보다 빠르게 목돈을 모을 수 있어서다.


특히 이번 대선에서도 청년층을 겨냥한 다양한 자산 형성 공약이 나오고 있다. 전문가들은 새 정부 출범 시 어느 상품을 선택하는 것이 유리한지를 따져보는 것이 중요하다고 조언한다.


29일 금융권에 따르면 '청년도약계좌는' 지난 2023년 6월 상품 출시 후 2년 만에 누적 가입자 200만2000명을 돌파했다.


청년도약계좌는 청년 자산 마련을 위해 윤석열 정부가 마련한 정책 상품으로, 가입자가 매월 70만원 한도 내에서 납입하면 정부가 소득 수준에 따라 월 최대 2만4000원을 추가로 적립 해 주는 식이다.


올해부터는 모든 소득구간에서 기여금 매칭한도를 확대하고, 매칭비율 3.0%의 기여금을 추가로 지급한다. 최대 연 9.54%의 금리 효과를 누릴 수 있는 셈이다.


'청년내일저축계좌'도 인기다. 기준 중위소득 50~100%인 일하는 청년이 매월 10만~50만원을 적립하면 정부가 월 10만원을 지원한다.


본인 저축금이 360만원일 경우 3년 후 만기 시에는 총 720만원의 적립금과 최대 연 5% 금리의 적금 이자를 수령하게 된다. 올해부터는 작년보다 근로소득 기준을 완화하고 온라인 계좌 관리 기능도 추가됐다.


대선 후보들이 내놓은 관련 공약에도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공통적으로 이미 호응도가 높았던 정책을 확대·발전하겠다는 방향으로 풀이된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후보는 청년내일채움공제의 개편안으로 '청년미래적금'을 도입하겠다고 내세웠다.


기존 청년내일채움공제는 청년이 중소기업에서 5년간 재직하며 매월 일정 금액을 납부하면 만기 시 기업과 정부가 지원금을 얹어주는 제도다.


구체적 지원 금액과 운영 계획은 발표되지 않았지만, 기존 정책 상품과 비슷한 구조다보니 행정 시스템을 구축해야 하는 부담은 완화된다는 분석이다.


김문수 국민의힘 대선후보는 청년 재직자 도약장려금을 도입하고, 현재 만 34세까지인 도약계좌·저축공제 가입연령을 높이겠다고 약속했다.


이준석 개혁신당 대선후보는 '5000만원 한도 든든출발자금'을 공약했다.


1분기당 500만원, 최대 5000만원 한도 내에서 연 1.7% 고정금리로 대출해주겠다는 건데, 앞선 두 후보와 달리 현금 지원이 아닌 대출 형태라는 특징이 있다.


이같은 상황에 전문가들은 본인에게 가장 유리한 상품을 꼼꼼하게 따져보는 것이 중요하다고 조언한다.


대선 이후 정책 실현 과정에서 자금 한정 등의 이유로 시행 규모 및 혜택이 축소될 수 있기 때문이다.


또 차기 정부의 정책상품이 나올 경우 현 상품의 운영 방향이 수정될 수 있다는 점도 지적했다. 실제 문재인 정부의 '청년희망적금'은 향후 출시된 청년도약계좌로 갈아타는 수요가 늘어나 현재는 판매 중지됐다.


은행권 관계자는 "현재 청년들을 위한 자산 형성 상품이 인기가 많다"며 "각 상황에 따라 소득 수준, 자산 형성 목표 등을 고려해 가입 요건과 우대 조건, 만기 시 실질 혜택 등을 꼼꼼히 비교해야 한다"고 말했다.


업계 또 다른 관계자는 "정치권의 공약은 실제 정책으로 이어지기까지 변수가 많다"며 "재원 마련이 가장 큰 문제"라고 지적했다.

0

0

기사 공유

댓글 쓰기

정지수 기자 (jsindex@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관련기사

댓글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