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 대선 경선 토론회서 AI 관련 설전
안 "김, 어디에 어떻게 과감하게 투자할건가"
김 "안, 정부 위원장으로 모셔서 투자 뒷받침"
尹탄핵 두고도… 안 "사과했나" 김 "옹호 안해"
국민의힘 대선 경선 후보인 김문수·안철수 후보가 인공지능(AI) 정책, 윤석열 전 대통령 탄핵과 관련해 설전을 벌였다.
국민의힘은 19일 오후 서울 강서구 ASSA아트홀에서 1차 경선 A조 김문수·안철수·양향자·유정복 후보의 토론회를 개최했다.
이 자리에서 안 후보는 조별주제 토론 '청년미래'에서, AI를 키워드로 선택한 뒤 김 후보를 향해 "AI 인프라 확충과 투자 확대를 통한 AI 시대, G3 국가 진입 그리고 벤처 및 스타트업에 대한 과감한 투자를 공약으로 내세웠다. 그렇다면 어디에 어떻게 과감하게 투자하겠느냐"고 물었다.
김 후보는 "우선은 연구할 수 있는 AI 연구소 또는 대학교 관련 학과 그리고 각 산업, 벤처기업 이런 데다가 투자를 해야 되겠다"고 답했다.
안 후보는 "AI 산업계에서 공통적으로 얘기하는 고충은 혹시 알고 있느냐"고 다시 물었고, 김 후보는 "고충은 너무 규제가 많은 점"이라며 "AI 부분에 특히 의료, 예를 들면 안 후보가 의사이지만 의료 정보도, 우리 국민 건강보험 만큼 정보가 잘 돼 있는 데가 없지 않느냐"고 말했다.
김 후보는 "제가 대통령이 되면 안 후보처럼 AI를 잘 알고 관심이 있는 분들을 당의 위원장이 아니라 정부 위원장으로 모시겠다"며 "함께 전문가를 알아와서 위원회를 구성하고 집중적인 투자를 뒷받침하겠다"고 밝혔다.
안 후보는 "AI 범위가 넓고 다른 의견을 가진 AI 전문가가 굉장히 많다"며 "지도자에게 중요한 것은 본인이 전문가일 필요는 없겠지만 AI에 대해서 기본적인 철학과 어느 방향으로 발전해야 할지는 알아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안 후보는 김 후보에게 "AI 잘 모르시죠"라고 질문했다. 이에 김 후보는 "안 후보 만큼은 모르지만 챗GPT, 퍼플렉시티도 쓰고 여러 개 쓴다"고 답했다.
김 후보는 이어 "양자 기술을 활용한 양자 컴퓨터 등을 활용해서 AI에 대한 기본 인프라를 강화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인재도 20만명 양성하고 추진위원회도 안 후보 같은 분 모셔서 하겠다"고 했다.
안 후보는 토론 2라운드에서도 김 후보를 저격했다. 안 후보는 "아까 김 후보가 AI 말하면서 양자 컴퓨터도 이야기했는데, 오히려 이 둘은 완전히 다르다"라며 "완전히 달라서 이 둘을 같이 섞어서 말하면 안 된다"고 꼬집었다.
안 후보는 "사실 이 둘은 따로 이렇게 발전을 해야 되는 부분들이고 이 부분들에 대해서는 따로 연구비들을 책정하고 따로 그 연구자들을 모아서 제대로 우리가 발전을 할 수 있게 해야지 우리나라가 발전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두 사람의 신경전은 윤 전 대통령 탄핵과 관련해서도 이뤄졌다. 안 후보는 김 후보에게 "김 후보는 대통령 탄핵에 반대하셨지 않느냐"며 "윤 대통령 탄핵 이후에 국무위원으로 국민께 사과했느냐"고 따져 물었다.
김 후보는 "탄핵에는 여러 가지 문제가 많다고 생각하고 있다"며 "탄핵 문제에 대해서는 사과를 한 적은 없다"고 했다.
이에 안 후보는 "그게 문제라고 본다. 더불어민주당은 대선을 '이재명 대 윤석열'로 끌고 가려고 하는데, 우리가 반성과 사과가 없으면 결국은 이 구도에서 벗어나지를 못해서 대선에서 필패할 가능성이 많다고 본다"며 "민주당에서는 우리를 '계엄 옹호당' 이렇게 지금 밀고 있다. 그리고 많은 국민이 또 거기에 설득 당하고 있는데 여기서 빠져나와야 된다"고 주장했다.
안 후보의 말에 김 후보는 "저는 비상계엄을 옹호해 본적도 없고 찬성해 본적도 없는 사람"이라며 "그러나 대통령께서 이 비상계엄을 선포할 수밖에 없었던 그 안타까운 사정에 대해서 그건 책임이 민주당에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0
0
기사 공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