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엉망진창” vs “찬물 끼얹냐” 파열음에 전주올림픽 동력 상실 우려↑

김태훈 기자 (ktwsc28@dailian.co.kr)

입력 2025.09.30 16:37  수정 2025.09.30 16:45

전주 하계올림픽 유치 계획 놓고 전라북도 지역 내에서도 엇박자

윤준병 의원 “IOC로부터 부적격 판정”에 김관영 지사 “대단히 부적절한 발언”

국정과제서 빠진 악재 속 역량 끌어 모아도 부족한 시점에 안타까운 공방



ⓒ 뉴시스

더불어민주당 윤준병(전북 정읍·고창) 의원이 전북자치도의 2036 전주 하계올림픽 유치 도전을 비판하면서 ‘엉망진창’이라는 표현까지 쓰자 김관영 전북도지사가 "찬물을 끼얹는..."이라며 유감을 표했다.


김관영 전북도지사는 29일 "도민들이 열망과 간절한 마음을 갖고 있는 올림픽 유치에 찬물을 끼얹는 결과를 가져왔다"고 말했다.


윤 의원이 'IOC로부터 부적격 판정을 받았다'고 주장한 것에 대해 김 지사는 "IOC와 두 차례 회의했고, IOC 요청에 따라 회의 내용은 비공개"라며 "IOC가 국내 언론을 계속 모니터링하고 있는데 '부적격 판정'이라는 표현은 대단히 부적절하다"고 강하게 지적했다. 대한체육회 관계자도 “IOC가 부적격 판정을 내렸다는 것에 대해 전혀 들은 바 없다”고 말했다.


김 지사는 "우리 계획에 대해 IOC가 '이렇게 하는 것이 유치 가능성을 더 높이지 않겠냐'라고 대화하며 조정해 나가는 과정이다"라고 강조했다.


이재명 정부의 국정기획위원으로 활동했던 윤준병 국회의원과 ‘골리앗’ 서울을 꺾고 국내 개최 후보지 선정을 이끈 김관영 지사의 공방이 계속되면서 파열음은 점점 커지고 있다.



더불어민주당 윤준병 의원. ⓒ 뉴시스

파열음은 윤 의원이 갑자기 내놓은 의견에서 시작됐다.


지난 28일 자신의 SNS를 통해 “2036 하계 올림픽 유치 도시로 선정된 전주가 'IOC 개최지 기준'과 '기재부 승인 요건' 등을 갖추지 못한 상태”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전국 10개 지자체가 연대해 하계올림픽을 유치하겠다는 계획은 IOC로부터 ‘부적격 판정’을 받았고, 준비 과정도 ‘엉망진창’이라는 표현까지 썼다.


또 “도민들이 향후 더 큰 낙담과 상실감에 휩싸일 수 있다”고 우려하면서 유치 활동을 중단하라는 취지의 글도 남겼다.


그러면서 대한체육회와 전북자치도가 총사업비의 40% 이상을 광역지자체가 부담해야 한다는 의무에 대해서도 지적했다.


이에 대해 문화체육관광부와 전북자치도는 “유치 계획안은 국제 기준에 맞춰 단계적으로 개선 중으로 '지속 협의 단계'에 있다”며 “기획재정부 규정에 따라 지방비 40% 부담 원칙이 적용되지만, 이를 완화하기 위한 제도 개선을 모색하고 있다”고 해명했다.


역대 올림픽은 모두 특별법으로 국비를 95%까지 지원받았다.


새 정부 출범 이후 올림픽 개최가 국정과제에도 반영되지 않으면서 논란을 더 키운 가운데 파열음까지 들리자 자칫 2036 전주 동계올림픽 유치 활동이 동력을 상실하는 것 아니냐는 우려의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더 안타까운 것은 전북이 최종 후보지로 선정된 직후에도 “추진이 쉽지 않을 것”, “서울이 되는 것이 훨씬 유리하다”는 목소리도 작지 않았는데 이번 파열음을 타고 다시 그런 반응들이 곳곳에서 다시 새어나오고 있다는 점이다.


전북자치도 김관영 지사. ⓒ 뉴시스

전북이 자랑하는 ‘저비용 올림픽’의 핵심은 분산개최인데 사실 해결해야 할 난제가 많다. 분산 개최 시 선수들이 체류해야 하는 선수촌과 경기장의 거리가 IOC가 정한 기준을 초과할 수 있다. 더 큰 문제는 숙박이다. 관광객은 차치하고 IOC 관계자나 후원사 등이 등급을 따지지 않더라도 5만실 이상 필요한데 전북의 호텔을 다 모아도 6000실이 되지 않는다.


선뜻 이해하기 어려운 공방을 지켜보고 있는 한 체육계 관계자는 “지역의 역량을 다 끌어 모아도 모자랄 판에 같은 지역에서 파열음이 나온다는 것은 매우 안타까운 일”이라며 “신뢰 있는 정보를 놓고 긴밀한 소통 창구를 통해 협의한 뒤 힘을 모아 정부를 설득하는 동시에 국민적 관심을 이끌어 내야 하는데 안타깝기 짝이 없다”고 혀를 찼다.

0

0

기사 공유

댓글 쓰기

김태훈 기자 (ktwsc28@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관련기사

댓글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