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승'全'결?…블랙홀에 빠져버린 국민의힘
"강성 아스팔트 보수와 절연을 못하겠다?
그렇다고 하더라도 거리두기는 필요…
선출직 뽑을 때 여론조사 구조도 바꿔야"
국민의힘 당대표를 뽑는 전당대회를 앞두고 열린 대구·경북 첫 합동연설회는 유튜버 전한길 씨가 등장하며 얼룩졌다. 비전과 쇄신 경쟁은 온데간데없고, 이른바 '윤 어게인'의 대표주자 전 씨가 당내 갈등을 부채질하며 '극우 프레임'만 강화됐다는 지적이 나온다.
국민의힘은 전당대회 부산·울산·경남 합동연설회를 하루 앞둔 11일 '배신자' 야유를 주도한 전한길 씨에 대한 징계 절차를 밟기로 했다. 이르면 오는 14일 징계 수위를 결정하고, 이후 열릴 전당대회에 참석하는 것도 허용하지 않을 계획이다.
윤리위는 전 씨에게 소명자료 제출과 윤리위 출석 후 입장을 밝힐 기회를 주는 공문을 서면으로 보내고, 공문이 전 씨에게 도착하는 시간을 감안해 이틀 뒤에 윤리위를 다시 연다.
여상원 윤리위원장은 회의를 마친 뒤 기자들과 만나 "외부적으로 나타나고 언론에 보도된 내용이 맞다면, 전 씨의 사안이 징계를 개시할 만한 사유가 된다"며 "(윤리위원) 만장일치로 징계 개시를 결정했다"고 말했다.
이어 "반드시 그날 결정이 나온다고는 100% 장담할 순 없지만, 이날 윤리위 논의를 보면 결과가 나오지 않을까 싶다"며 "합동 토론회가 적법한 절차에 의해서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는데 거기서 자기 마음에 안 들면 '배신자' 소리를 지르는 것은, 민주적인 정당이라면 민주적인 절차를 따라야 하는 게 원칙"이라고 했다.
그러자 전 씨는 같은 날 서울 여의도 국민의힘 중앙당사를 찾아 되레 김근식 최고위원 후보에 대한 징계요구서를 제출했다. 당 윤리위원회가 자신에 대한 징계 절차를 밟기로 결정하자, 오히려 역정을 내면서 매를 든 셈이다.
전 씨는 관련 서류를 낸 뒤 기자들에 "전한길은 피해자 아니냐. 피해자다. 오히려 나를 저격하고 공격한 자가 누구냐. 바로 김근식 후보 아니냐"라고 발끈했다.
그러면서 "김 후보에 대한 제재가 전혀 없고 피해자인 전한길에 대해서만 신속히 제재하는 것은 옳지 않다"며 "김 후보도 사퇴하고 빠른 제재 조치를 취해달라고 요청하기 위해 왔다"고 주장했다.
국민의힘은 일단 전 씨에 대해 '전당대회 출입불허'라는 결정을 내렸다. 박성훈 국민의힘 수석대변인은 이날 오전 국회에서 비상대책위원회의를 마친 뒤 기자들과 만나 "윤리위 결론이 어떻게 나든 상관없이 전 씨의 전당대회 참석은 불허한다"고 밝혔다.언론인으로서도, 당원으로서도 전 씨의 전당대회 출입이 부적절하다는 판단이다.
그러나 전 씨가 전당대회 참석을 강행하겠다는 입장을 밝히면서 당 안팎의 긴장감이 고조되고 있다. 당내에선 전 씨 징계가 불가피하다는 목소리가 커지는 가운데, 외부에서 작용하는 극단 세력의 영향으로 국민의힘이 '합리적 보수정당'이라는 입지를 잃고 있다는 제언이다. '쇄신'을 말하고자 하는 전당대회의 첫 합동연설회를 강성 당원들이 많은 대구·경북에서 시작한 점도 고민이 부족했고 사려 깊지 못했다는 지적이 나온다.
최수영 정치평론가는 이날 데일리안과의 통화에서 리처드 닉슨 미국 대통령의 '워터게이트' 사건을 예로 들었다. 최 평론가는 "당시 미국은 닉슨을 보수의 정치적·도덕적·윤리적이라는 3대 위기로 규정하고 닉슨을 '보수의 이단아'로 규정했다. 여기서 배워야 할 상황은 윤석열 전 대통령도 적통성, 가치, 통합과 협치에 대한 개념 없이 정치를 적으로만 돌렸다는 것"이라고 했다.
이어 "강성 아스팔트 보수와의 절연까지는 못하더라도 거리두기가 필요하다"며 "새로운 중도 정당으로서의 어젠다 세팅도 필수적"이라고 짚었다.
최 평론가는 "모든 선출직에 대한 여론조사 구조를 '역선택 방지조항'을 넣더라도 국민 참여 조항을 대폭 늘려줘야 한다"고 했다. 이어 "갑자기 강성 아스팔트 보수와 거리 두기를 한다는 게 쉽지 않지만, 향후 선출될 지도부가 점진적으로, 절충 작업을 쌓아 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0
0
기사 공유
댓글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