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대 룰' 논의 문닫은 국민의힘…"미리미리 고쳤어야"

오수진 기자 (ohs2in@dailian.co.kr)

입력 2025.07.25 04:05  수정 2025.07.25 06:28

국민의힘 지도부, '시간 촉박' 이유로 기존 룰 강행 못 박아

쇄신파 중심으로 '민심 비율' 높이자는 의견 지속적 피력

"시간적으로 촉박하지만…최소 5:5 비율로 미리 고쳤어야"

황우여 국민의힘 선거관리위원회 위원장이 14일 국회에서 열린 당대표 및 최고위원 선출 선거관리위원회 위촉장 수여식에서 발언하고 있다. ⓒ뉴시스

윤희숙 혁신위원장과 쇄신파 주자들의 요구에도 불구하고 국민의힘 지도부가 '당심 80%·민심 20%'라는 기존 룰을 고수하며 전당대회를 강행할 방침이다. 현실적으로 시간이 촉박함에 따라 어쩔 수 없는 결정이긴 하지만 기존부터 룰이 변경될 필요가 있었다는 아쉬움이 흘러나오고 있다.


국민의힘은 24일 8·22 전당대회 예비경선은 당심·민심 50%씩 반영하되, 본경선은 현행 규정대로 치르기로 결정했다.


국민의힘 관계자는 "(전당대회 룰을 고칠) 시간이 없다. 사실은 혁신안을 두고 (전당대회를) 늦게 진행하려고 했는데, 그보다 빨리 진행하자는 의견이 많았다"며 "예비 경선에서 50대50 비율로 하지 않느냐. 초반에 거기서 (민심을) 반영시키고 결선은 당심으로 가는 게 맞지 않겠느냐"라고 밝혔다.


이어 "기존에는 (룰에 관한 의견들을) 반영해볼까도 했고, 일정을 확정 짓기 전 마지막까지 한다 만다 했는데 (이제는) 변경하지 못한다"며 "이미 후보 공고가 나갔다. 후보들도 지원할 때 공고를 통해 룰을 확인하고 지원하지 않느냐"라고 강조했다.


선관위 역시 민심 반영 비율 확대에 대한 일부 의견을 두고 논의 가능성을 열어둔 듯했지만 결국 비대위 결정에 따를 수밖에 없다는 입장을 내비쳤다. 당헌·당규에 관련된 전당대회 룰을 비대위 산하의 선관위가 단독으로 변경하긴 어려운 구조다.


국민의힘 선관위 관계자는 "전당대회 룰과 관련한 얘기가 나왔으나 비대위에서 부정적인 입장을 취한 것으로 안다"고 전했다.


반면 윤희숙 혁신위원장을 포함한 당내 쇄신파 인사들은 계속해서 전당대회에 민심을 더 반영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내고 있다. 국민의힘에 등을 돌린 일반 유권자들을 다시 끌어들이기 위해선 민심 중심의 선거가 필요하다는 주장이다.


지속적으로 전대 룰 변경에 대한 중요성을 펼쳐온 안철수 당대표 후보를 비롯해 김용태 전 비대위원장 등도 최근 국민 여론의 비중을 늘려야 된다는 데 동의했다. 앞서 윤희숙 혁신위원장은 당대표를 '국민 여론조사 100%'로 선출하자고 제안한 바 있다.


쇄신파로 분류되는 한 인사도 "상식적인 사람이라면 지금 위기 상황이 민심이 못 따라와서 벌어진 것이니, 민심이 당심보다 훨씬 더 커야 한다고들 하지 않겠느냐"라고 비판했다.


김 전 비대위원장은 지난 23일 YTN라디오에서 "전당대회 때 민심 반영을 높여야 된다는 것에 동의하는 이유는 정당이라고 하면 항상 중도층 유권자분들한테 열려 있어야 된다"며 "대중정당으로 나아가는 것이 굉장히 중요하기 때문에 늘 우리를 지지하거나 중도층 국민의 생각을 묻고, 그분들의 의사결정 과정에 참여할 수 있게 비중을 늘리는 게 대중정당으로 나아가는 데 있어 굉장히 필요한 조건"이라고 역설했다.


비대위의 '시간 부족'이라는 입장에 일정 부분 공감이 따르긴 하지만 예비경선에서의 비율 조정만으로는 국민의힘이 변화하는 모습을 보여주긴 충분치 않다는 지적도 제기된다.


신율 명지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어쨌든 시간적으로 촉박한 건 맞다. 당헌·당규를 고치려면 비대위 의결이 있어야 하고, 대의원 회의를 열고, 전국위를 소집하는 등 두 단계를 거쳐야 한다"며 "아무리 빨리 서두른다 하더라도 2~3주 걸리는데, 사실 미리미리 최소 5:5 비율로 고쳤어야 했다"고 일침을 가했다.


이어 "예비경선 비율 조정은 실질적으로 의미가 없고 당헌·당규와 관련도 없으니 금방 할 수 있으니 그런 식으로 진행된 것"이라고 평가했다.

0

0

기사 공유

댓글 쓰기

오수진 기자 (ohs2in@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관련기사

댓글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