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도부, 현행 단일지도체제로 유지
중앙당 지도체제 및 리더십 강화"
국민의힘 혁신위원회가 당대표 리더십 강화를 위해 차기 지도부 지도체제를 현행 단일지도체제로 유지하는 한편 최고위원제를 폐지하는 혁신안을 제안했다.
당 혁신위원인 호준석 대변인은 11일 서울 여의도 중앙당사에서 브리핑을 갖고 "재창당 수준의 혁신을 하는 당 구조 혁신이 논의됐다"며 이같이 말했다.
호 대변인은 "혁신의 큰 방향은 당원 중심 정당으로 전환하는 것"이라며 "중앙당의 지도체제와 리더십을 강하겠다"고 강조했다.
이어 "'봉숭아학당'은 이제 없다. 대신 '민심 학당'이 될 것"이라며 "최고위를 통해 생중계로 싸우고 이전투구하는 모습이 보였던 애매했던 혼합형 지도체제를 끝내고 당대표가 확고한 리더십을 가지고 정책 역량을 쌓고 이길 수 있는 정당으로 만드는 제도를 채택하겠다는 것"이라고 피력했다.
이에 따라 최고위 제도 폐지 대신 중앙당무회의를 신설한다. 호 대변인은 "중앙당무회의를 매주 두 차례 개최할 것"이라며 "구성원은 당대표·원내대표·정책위의장·사무총장·수석대변인·청년위원장·여성위원장 등이다. 당대표가 지명하는 원외당협위원장 두 명까지 총 9명으로 구성될 것"이라고 했다.
전국 민심회의도 신설한다. 17개 시·도당 대표를 당원 직선제로 선출하며, 당대표가 의장이 돼 매주 1회 회의를 실시한다. 상임전국위원회 기능을 수행할 예정이다.
호 대변인은 "(이를 통해) 시·도당 민심을 민감하게 반영할 수 있게 된다"며 "각 시·도당을 통해 인재를 발굴하고 등용하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비례대표 공천과 관련해서는 호남·서울·경기 등 당세 취약지역에 비례후보를 우선 안배하고, 청년 비례할당을 대폭 확대한다. 후보자는 당원투표를 통해 결정한다.
호 대변인은 "(2차 혁신안은) 비상대책위원회에 보고될 것"이라며 "비대위 의결을 통해, 만약 어느 부분은 당원 투표를 부칠 필요 있겠다고 판단되는 부분이 있다면 당원투표를 부칠 가능성이 있다. 그런 절차를 앞으로 밟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 같은 혁신안에 대한 지도부의 수용 여부와 관련해서는 "지도부에서 절대 못 받아들이지는 않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0
0
기사 공유
댓글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