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임 한달 회견서 "정치·외교서 감정 배제…
대북방송 중단 후 북 호응 기대보다 빨랐다"
이재명 대통령이 "(북한과의) 대화를 전면 단절하는 것은 정말 바보짓"이라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3일 취임 한 달을 맞아 청와대 영빈관에서 진행한 '대통령의 30일, 언론이 묻고 국민에게 답하다' 기자회견에서 "한미 간 든든한 공조 협의를 바탕으로 북한과의 관계를 개선해야 한다"며 이같이 밝혔다.
이어 "대화와 소통, 협력이 정말 중요하다"며 "김대중 전 대통령이 햇볕정책이라는 이름으로 일종의 전형을 만들기도 했지만, 사실은 전쟁 중에도 외교는 하는 것이고, 미워도 얘기를 들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이 대통령은 "정치나 외교에서는 감정을 배제하고 철저하게 이성적이고 논리적으로 대응해야 한다"며 "여야 관계도, 남북관계도, 진영과 진영 관계에서도 서로 절멸시키는 것이 목표가 아니라면 서로에게 득이 되는 길을 가야 한다"고 했다.
이 대통령은 "대화와 소통을 통해 하나씩 하나씩 (긴장을) 완화해 나가야 한다"고도 했다.
이 대통령은 "지금은 적대와 불신이 심해 쉽지 않을 것으로 예상한다"면서도 "대북방송을 중단하면서 얼마나 북한이 빨리 반응할지, 혹시 반응을 안 하지는 않을지 우려했던 게 사실이다. 그런데 너무 빨리 호응했고 기대 이상이었다"고 밝혔다.
뿐만 아니라 남북 관계를 이야기하던 중 변호사 시절 당시 부부 상담을 했던 사례를 언급하면서 "변호사 일을 하면서 부부 갈등 상담을 많이 했다"면서 "사실은 원래 작은 것이었는데 이만해져서 감당을 못하는 경우가 상당히 많더라"고 했다.
그러면서 "부부 클리닉을 가서 역할을 바꿔보면 서로를 이해하게 되는 상황이 많다"며 "사람 관계도, 여당과 야당 관계도, 남과 북의 관계도 비슷하다고 생각한다. 대화와 소통이 정말로 중요하다"고 재차 강조했다.
통일부 명칭변경 논란에 대해서는 "지금 통일을 요구할 경우 자칫 상대에게 '흡수를 하겠다는 것인가, 굴복을 요구하는 것인가'라는 오해를 받을 수 있다"며 "그래서 통일부의 이름을 바꾸자는 얘기도 나오는 것 같다"고 말했다.
이어 "우리 헌법에도 쓰여있듯이 우리는 평화적 통일을 지향한다"며 "이는 흡수통일이 아니다. 누가 흡수를 당하고 싶겠나"라고 반문했다.
이 대통령은 "그러나 이런 논란에도 길게 보고 소통과 협치를 계속해 나가야 한다"면서도 "가능하면 서로의 존재를 인정하고 동질성을 회복해야 한다"고 했다. 끝으로 "구체적으로 어떻게 할 건지는 국가안보실과 국정원 등에 얘기해 놨고, 나중에 결과로 말씀을 드리겠다"고 덧붙였다.
0
0
기사 공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