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23(월) 데일리안 출근길 뉴스] 李대통령, 나토 불참…트럼프와 만남 또 밀렸다 등

정광호 기자 (mkj6042@dailian.co.kr)

입력 2025.06.23 06:30  수정 2025.06.23 06:30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 참석차 캐나다를 방문하는 이재명 대통령과 부인 김혜경 여사가 지난 16일 성남 서울공항에서 공군 1호기에 탑승하고 있다. (공동취재) ⓒ연합뉴스



▲李대통령, 나토 불참…트럼프와 만남 또 밀렸다


이재명 대통령이 중동 사태 등을 고려해 고심 끝에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정상회의에 참석하지 않기로 했다. 이로써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에 이어 나토 정상회의에서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의 상견례는 불발됐다. 트럼프 대통령과의 첫 만남은 오는 7~8월 이 대통령이 직접 미국을 찾아 한미정상회담을 통해 이뤄질 가능성이 나온다.


강유정 대통령실 대변인은 22일 서면 브리핑을 통해 "여러 가지 국내 현안과 중동 정세로 인한 불확실성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이번에는 대통령이 직접 참석하지 않기로 했다"고 밝혔다.


이어 "정부는 대통령 취임 직후의 산적한 국정 현안에도 불구하고, 그간 대통령의 이번 나토 정상회의 참석을 적극 검토해 왔다"며 "여타 정부인사의 대참 문제는 나토 측과 협의 예정"이라고 했다.


이 대통령은 당초 24~25일(현지시간) 네덜란드 헤이그에서 열리는 나토 정상회의 참석에 무게를 실었다.


대통령실은 이날 오전 위성락 국가안보실장 브리핑이 오후 3시 열릴 예정이라고 공지하기도 했다. 국가안보실장 브리핑은 보통 대통령 순방 하루나 이틀 전에 이뤄진다. 지난 G7 정상회의 순방을 앞두고도 출국 하루 전인 15일에 열렸었다.


▲송언석 "李대통령, 김민석 총리 후보자 지명철회 뜻 없는 듯"


송언석 국민의힘 원내대표가 이재명 대통령과 오찬 회동 후 "정치 복원과 이재명 정부의 성공을 위해 김민석 후보자 지명의 문제점을 지적함과 함께 재검토를 요청했지만, 이 대통령은 '청문회를 지켜보겠다'는 말로 즉답하지 않았다"고 밝혔다.


송언석 원내대표는 22일 국회에서 기자간담회를 열어 이날 서울 한남동 대통령 관저에서 이뤄진 이 대통령과 여야 지도부 오찬 회동의 주요 내용을 언급했다. 국민의힘에선 오찬 회동에 김용태 비상대책위원장과 송 원내대표가 참석했다.


송 원내대표는 김민석 총리 후보자의 아빠 찬스, 칭화대 학위 관련 의혹 등을 거론하며 "인사청문회까지 갈 것도 없이 국민 눈높이에 맞지 않는 인사인 만큼 대통령과 새 정부의 국정 운영에도 큰 부담이 될 것이란 점을 재차 강조했다"고 했다.


그러면서 이 대통령이 이 같은 문제 제기에 즉답하지 않은 데 대해 "아마도 지명 철회 뜻이 없음을 간접적으로 나타낸 것이 아닌가"라고 해석했다.


또한 송 원내대표는 이 대통령에게 정치 복원을 위해 국회 법제사법위원장을 야당에 넘겨줄 것도 요청했지만, 이와 관련해 긍정적인 답을 받지 못했다고도 전했다.


▲美, 中 반도체 장비 제재 강화 나설까...삼성·SK '예의주시'


미국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중국 공장에 미국산 장비 반입을 제한할 것이란 방침을 통보하면서 국내 반도체 업계가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22일 업계에 따르면 월스트리트저널(WSJ) 등 주요 외신은 지난 20일(현지시간) 미국 정부가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등 한국 반도체 기업들의 중국 내 공장에 대한 미국산 장비 공급을 제한한다는 방침을 통보했다고 보도했다.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업계 1위 TSMC에도 같은 방침을 통보한 것으로 전해졌다.


현재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등은 중국 공장에 미국산 반도체 장비를 반입할 때 '검증된 최종 사용자'(VEU) 규정을 통해 미국의 규제를 피했다.


2022년 당시 조 바이든 행정부가 중국 반도체 산업을 견제하기 위해 일부 첨단 반도체 장비의 대중국 수출을 금지하는 조치를 취했는데, 우리 기업들은 VEU 규정을 통해 미국산 장비 반입이 가능했다.


현재 주요 외신 등을 종합하면 트럼프 행정부가 VEU 제도 폐지에 무게를 두고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 특히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과 함께 미국과 중국의 무역 갈등이 심화하는 양상을 보이면서 이같은 평가에 힘이 실린다.

0

0

기사 공유

댓글 쓰기

정광호 기자 (mkj6042@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관련기사

댓글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