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페이스북
X
카카오톡
주소복사

SKT, 전국 8천개 기지국서 지진 위험 감지…“사회 안전망 구축”


입력 2020.07.09 11:00 수정 2020.07.09 09:04        김은경 기자 (ek@dailian.co.kr)

기상청·경북대학교와 ‘지진관측 네트워크’ 구축

지진감지센서 부착…기상청 지진대응체계 연계

SK텔레콤 엔지니어가 기지국과 연동한 지진감지센서를 점검하는 모습.ⓒSK텔레콤 SK텔레콤 엔지니어가 기지국과 연동한 지진감지센서를 점검하는 모습.ⓒSK텔레콤

산·들판·도심 등 전국에 있는 8000여개 SK텔레콤 기지국이 통신망 뿐 아니라 ‘지진관측소’ 역할까지 맡게 된다.


SK텔레콤은 기상청·경북대학교와 손잡고 한반도의 지진 탐지·경보체계와 연계할 수 있는 ‘지진관측 네트워크’를 시범 구축한다고 9일 밝혔다.


전국에 분포한 기지국·대리점 등 3000여곳에 지진감지센서를 설치하고 이를 기상청 지진관측시스템과 연동하는 방식이다.


현재 기상청은 전국 338개 지진관측소의 자료를 활용해 지진 관측 후 7~25초 내에 지진조기경보를 발령하고 있다. SK텔레콤과 협력을 통해 지진관측자료가 보강되면 더 정확한 진도정보를 생산하고, 지진조기경보 시간을 단축할 수 있을 전망이다.


SK텔레콤은 기상청·경북대학교와 국가 지진대응체계 고도화를 위한 연구를 내년까지 추진하기로 했다. 현재 기상청은 SK텔레콤 기지국 내 설치된 지진감지센서의 진동 데이터를 기상청의 지진관측자료와 비교해 지진분석의 성능을 검증하고, 지진정보 서비스 활용 가능성을 검토하고 있다.


한반도 지진 발생 추이.ⓒ기상청 한반도 지진 발생 추이.ⓒ기상청

SK텔레콤은 이날 내진·진동 등 안정성을 검증하는 한국에스지에스 동탄시험소에서 모의 지진 시험을 진행했다. 시험을 위해 지진 규모 6.0 이상 지진과 유사한 진동을 발생시켜 기지국으로부터 진동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하는 과정을 선보였다.


지난 해 한반도에서 발생한 규모 2.0 이상의 지진 횟수는 88회다. 이 중 규모 4.0 이상 2건의 지진은 강원도 동해와 경북 포항에서 각각 50Km 가량 떨어진 해역에서 발생했다.


한반도에서 발생한 규모 5.0이상의 지진 10건 중 5건이 2010년 이후에 발생됐고, 가장 큰 지진이었던 경주 지진(규모 5.8)과 포항 지진(규모 5.4)이 2016년과 2017년에 잇달아 발생했다.


권영우 경북대학교 초연결융합연구소장 교수는 “포항에서 규모 5.0 지진이 발생하면 지진파의 속도와 진도 차이로 인해 50Km 떨어진 대구 시민과 150Km 떨어진 대전 시민의 행동요령은 다르게 받아야 하는데 이를 위해 정밀한 지진 관측은 필수”라고 설명했다.


SK텔레콤 지진감지센서는 기상청에서 지진분석에 활용되는 고성능 지진관측장비와 달리 저가형 장비로 한 뼘 크기의 220V 플러그 타입으로 설치와 이동이 편리하다. 초당 100회의 진동 데이터를 수집하고 정밀 분석을 통해 일반 진동과 지진을 구분하도록 설계돼 있다.


미래 기상청-SK텔레콤 지진관측 협력 네트워크 구성도.ⓒSK텔레콤 미래 기상청-SK텔레콤 지진관측 협력 네트워크 구성도.ⓒSK텔레콤

SK텔레콤은 지진감지센서에 관측되는 24시간 실시간 진동 데이터와 기압 등을 회사 수집서버(EQMS·Earthquake Monitoring System)로 분류해 기상청에 보낸다.


기상청은 제공받은 진동 데이터를 국가 지진관측망과 융합해 진도정보생산, 지진조기경보 분석 등에 활용할 수 있도록 연구를 추진하고 있다.


SK텔레콤 기지국과 대리점에서 수집되는 데이터와 전국 국가 지진관측소 데이터를 통합 분석하면 지진경보 시간이 단축되고 다양한 진도정보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전망이다. 보통 지진파(S파) 도착까지 걸리는 시간이 5초 정도면 책상 아래 등 근거리 대피가 가능하고, 10초 이상이면 건물 밖 대피도 가능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SK텔레콤은 기지국, 대리점 외에도 파출소, 초등학교 등 연말까지 8000여곳에 지진감지시스템을 확대할 계획이다. 국가·산업 주요시설, 학교 등으로도 확산 적용할 방침이다.


류정환 SK텔레콤 5GX인프라그룹장은 “지진관측 네트워크 구축을 비롯해 앞으로도 5세대 이동통신(5G) 시대에 통신사가 보유한 다양한 인프라를 활용해 사회적 가치창출에 힘쓸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은경 기자 (ek@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관련기사
김은경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