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르스가 빠르게 확산되면서 국민들의 불안감이 커지고 있는 가운데 4일 오전 서울 종로구 안국동의 한 거리에서 외국인 관광객 가족이 마스크를 쓴 채 관광 지도를 살펴보고 있다. ⓒ데일리안 홍효식 기자
35번째 메르스 확진 판정을 받은 의사가 확진 판정을 받기 전 강남 일대를 다닌 것으로 확인되자 SNS 상에는 강남 지역에 대한 공포가 확산되고 있다.
박원순 서울시장은 지난 4일 긴급 브리핑을 통해 “35번째 환자는 의사로, 메르스 환자와 접촉한 뒤 의심 증상이 보였지만 재건축조합 총회에 참석하는 등 1500여 명이 넘는 인원과 접촉했다”고 밝혔다.
특히 이 환자는 메르스 증상이 심해진 다음 날, 병원 대강당에서 동료 의료인이 함께하는 심포지엄에 참석했을 뿐만 아니라 오후에는 가족들과 서울의 한 식당에서 식사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같은 사실이 알려지자 SNS 상에서는 ‘강남 지역이 위험하다’는 분위기가 형성되고 있다.
트위터리안 ‘pea****’는 “강남 가기도 싫다”며 “그 의사 강남이 활동지라는데 메르스 걸리면 어떡해”라고 우려했으며, 트위터리안 ‘SC2****’는 “진짜 메르스 때문에 강남 등의 번화가에 유동인구가 확 줄었다”고 전하기도 했다.
또한 “오늘 강남가는데 메르스 때문에 난리난 곳이라 약속장소를 건대로 바꿨다”(트위터리안 ‘sue****’)던지 “강남에서 디저트 먹으면서 회의나 할까 했는데, 메르스 때문에 포기”(트위터리안 ‘twi****’)하겠다는 등 강남 지역을 회피하는 반응들도 잇달아 나타났다.
그러나 정작 강남 지역에서 생활하는 사람들의 반응은 예상 외로 미지근하다.
대치동에 거주하는 남성 김모 (28)씨는 “주변 친구들도 그렇고 모두 ‘조심하자’ 정도지 달라진 건 전혀 모르겠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패스트푸드점을 가도 똑같이 사람 많고, 의사가 갔던 식당 건물들이 어딘지는 모르겠지만 그런 소문도 들은 적 없다”며 “사실 SNS나 인터넷 뉴스 외에서는 별로 체감하는 게 없다”고 전했다.
또한 대치동에 거주하는 20대 여성 이모 씨는 “메르스 때문에 SNS에 병원 사진도 올라오고 학원이나 학교도 휴강하니까 난리가 난건 맞는 것 같다”면서도 “그렇지만 그 의사가 갔던 건물이나 식당이 문을 닫을 정도까지는 아닌 것 같다”고 말했다.
한편 해당 환자가 강남 일대를 돌아다닌 사실이 확인됨에 따라 서울시교육청은 해당 지역 학교들에 대한 일괄 휴업(휴교) 여부를 오는 7일 결정하기로 했다. 5일 오전 11시 기준 강남 지역에 휴업을 결정한 학교는 40개교다.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