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서발 KTX자회사 설립에 공적자금만 유치, 매각방지장치도 마련
한국철도공사(코레일) 노동조합의 파업사태를 놓고 여야가 상반된 입장을 내놨다. 여당 측은 노조의 불법파업을 비판하면서 현장 복귀를 촉구했고, 야당 측은 정부가 노조의 대화를 수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먼저 국회 국토위원회 여당 간사인 강석호 새누리당 의원은 17일 MBC 라디오에 출연해 “철도노조는 정부가 들어줄 수 없는 조항을 가지고 정부를 압박하고 있다”면서 “또 이번 철도파업은 근로조건의 개선과는 전혀 관련 없는, 자회사 설립 반대를 위한 목적상 불법파업이라고 우리는 보고 있다”고 말했다.
노조 측이 주장하는 민영화 가능성에 대해 강 의원은 “철도공사가 41%를 투자하고, 59%는 공적자금이 들어가는 만큼 이런 부분은 민간자본이 들어올 수 있는 사항이 전혀 배제된 그런 부분”이라면서 “이런 부분은 우리가 충분히 입증해줄 수 있다”고 강조했다.
구체적으론 수서발 KTX 자회사 설립에 공적자금만 유치하고, 정관 주주협약 조건과 철도사업 면허조건을 강화하는 등 겹겹의 매각방지장치를 마련해놨기 때문에 이 같은 부분들은 노조에게 보여줄 수 있다는 설명이다. 강 의원은 또 노조가 안을 내놓을 경우, 이를 검토해 상호 재협의도 가능하다고 밝혔다.
특히 강 의원은 “문제는 노조의 태도에 달렸다고 본다. 왜냐하면 이번 노조 파업의 이유가 실은 민영화 저지가 아니라 내 개인적으로 볼 때는 독점을 유지하기 위해서다”라고 주장했다.
그는 “그래서 정부가 민영화를 포기하고 다른 안을 내놨는데도 이걸 받아들이지 않고 굳이 민영화라고 우기는 것이 아니냐(는 생각이 든다)”며 “이제 코레일의 경영권이 확보가 됐고, 또 민간 매각의 우려가 제거된 상황에서 철도노조 파업은 설득력이 떨어진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노조는 파업을 당장 접고, 도로 현장으로 복귀해야 한다. 이런 철도노조의 파업으로 피해를 보는 것은 우리 국민들”이라면서 “3만명의 기득권을 유지하기 위해 국민 전체를 담보로 한 파업은 오히려 철도가 이제까지 고생해 쌓아올린 공공성을 스스로 훼손하는 것이라 본다”고 덧붙였다.
지난 9일 오후 서울 중구 서울역광장에서 민주노총, 공공운수연맹, 전국철도노동조합 서울지방본부가 주최해 열린 ‘서울지역 철도노동자 총파업 출정식’에서 참가자들이 수서발 KTX 설립 이사회 개최 중단 등을 요구하며 구호를 외치고 있다. ⓒ데일리안 홍효식 기자
0
0
기사 공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