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상회담 제의하며 역사문제 등 도발 계속하는 일본
망언 멈추지 않는한 한일 관계 개선 올해 넘길듯
APEC(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 정상회의를 시작으로 나흘 간 이어진 박근혜 대통령의 인도네시아·브루나이 순방 일정에서 한일정상회담은 끝내 성사되지 않았다. 일정 중 아베 신조 일본 총리는 공개적으로 한일 간 양자 정상회담을 제안했지만, 얼어붙은 한일관계는 한 발자국도 진척되지 못한 모습이다.
회담장 밖 세 차례 만남에도 어색함만 감돌아
박 대통령은 지난 7일 인도네시아 발리에서 개최된 APEC 정상회의 업무만찬에서 아베 총리와 인사를 나눴다. 만찬이 끝난 뒤 박 대통령은 아베 총리의 부인인 아키에 여사와 잠시 동안 이야기를 나눴다. 옆에 있던 아베 총리는 말없이 이 장면을 바라봤다.
박 대통령은 아베 총리와 만나 의례적인 인사만 주고받은 것으로 전해졌다. 이와 관련, 아베 총리는 “한일 축제 한마당에 아내가 참석한 얘기를 했고, 한국 요리를 자주 먹는다는 말도 했다”고 밝혔다. 이밖에 양국 정상이 나눈 대화와 관련해선 양측 모두 언급을 삼갔다. 주고받은 대화가 이뿐이란 걸 방증한다.
일본 언론에선 두 정상이 악수를 나눈 것조차 화제가 됐다. 일본 공영방송 NHK는 이날 오후 메인뉴스로 두 정상이 악수를 나누는 장면을 보도했다. 다음날 아사히신문은 1면에 박 대통령과 아키에 여사가 악수하는 장면을 보고 있는 아베 총리 모습을 실었다. 그만큼 양국 간 관계가 어색하단 의미로 풀이된다.
또 지난 10일 ASEAN(동남아시아국가연합)+3(한·중·일) 정상회의에서 앞서 정상들 간 기념촬영 땐 아베 총리가 박 대통령에게 손을 내미는 모습이 포착돼 주목을 받았다. 박 대통령은 다른 곳을 응시하다 마지못해 손을 잡는 듯한 상황을 연출했다. 촬영을 마친 박 대통령은 곧장 방향을 틀어 회의장으로 향했다.
이날은 박 대통령과 아베 총리가 만난 지 나흘째 되는 날이었지만, 냉랭한 분위기를 감추지 못했다.
더불어 일본 교토통신은 지난 9일 아베 총리는 9일 브루나이 수도 반다르스리브가완에서 “한국·중국 정상과 EAS(동아시아정상회의)에서라도 기회를 잡아 의견을 교환할 수 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고 보도했다. 다만 박 대통령이 아베 총리의 제안을 접하고 어떤 반응을 보였는지는 전해지지 않았다.
APEC 계기로 두 번째 한중정상회담 치렀지만 일본과는...
박 대통령은 지난 7일부터 9일까지 사흘 간 중국, 캐나다, 호주를 비롯한 8개 국가 정상과 양자 정상회담을 가졌다. 하지만 아베 총리와 별도의 만남은 협의조차 진행되지 않았던 것으로 전해졌다. 박 대통령과 아베 총리는 7일 업무만찬과 9일 저녁만찬에서 만날 기회가 있었지만, 의례적인 인사만 나눴다.
이처럼 경색된 한일관계는 전적으로 일본 정치인들의 왜곡된 역사관에서 비롯됐다는 분석이다. 박 대통령은 취임 초기부터 한일 대화의 전제조건으로 일본의 역사 인식 변화를 촉구했지만, 일본 측은 오히려 독도·위안부 문제와 관련해 왜곡된 역사 교육을 강화하는 등 집단 우경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10일 오전 브루나이 인터내셔널 컨벤션센터에서 열린 아세안+3 정상회의에 앞서 열린 기념촬영에서 아베 일본 총리가 박근혜 대통령에게 손을 내밀고 있다.ⓒ연합뉴스
0
0
기사 공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