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여연대가 ´천안함 사태´ 조사 결과의 문제점을 지적한 문건을 유엔 안보리 의장과 15개 안보리 이사국에게 이메일로 보낸 가운데 14일 서울 종로구 참여연대 앞에서 6.25남침피해유족회, 라이
“이명박 정부의 지나친 ‘중도실용’이 결국 우리 정부를 웃음거리로 만든 꼴이 됐다.”
“촛불로는 모자랐나, 반국가 세력까지 포용하는 게 ‘중도실용’은 아니지 않나.”
진보좌파 진영의 대표단체인 참여연대가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의장에게 한국의 민·관 합동조사단의 천안함 조사결과에 의혹을 제기하는 서한을 보낸 것과 관련, 보수우파 진영에서는 ‘걱정하던 일이 벌어졌다’고 우려섞인 반응을 보이고 있다.
보수우파 진영은 이명박 정부 출범 초기부터 진보좌파 성향의 단체, 특히 친북반미 성향의 단체들을 정리할 필요가 있다고 요구해왔다.
참여정부 시절 진보좌파 단체들에 힘이 쏠려 이들의 목소리가 지나치게 커짐에 따라 정부정책에 부담이 되고 있다는 지적은 줄곤 제기됐었다.
특히 참여연대의 경우, 국가보안법 폐지, 이라크 파병 반대, 평택미군기지 확장 저지, FTA 반대 등을 주도하면서 국익이나 공동체의 소통보다는 갈등을 부추기고 단체 혹은 진영논리만 앞세운다는 비판을 받았다. 표현 및 언론의 자유, 시민의 자발적 참여를 강조하고 있으나 국민들과의 공감대 형성에 실패한 채 자신들의 주장을 일방적으로 전달하는 독선적인 모습 또한 비판의 대상이었다.
더욱이 참여정부 시절 전현직 임원들의 정부 진출로 인한 권력화와 관변화, 대기업에 대한 기획소송, 반자본주의·반미·반세계화 등 이념화 등으로 참여연대는 시민단체 본연의 모습을 잃어 ‘쇄신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높았다.
그동안 아슬아슬했던 반정부적 행보는 이명박 정부 출범 이후 노골화됐다는 게 보수우파 진영의 판단. 이 때문에 참여연대 등 편향적인 시민단체들의 떼법적인 행태를 바로잡아야 한다는 요구했음에도 이명박 정부는 단호히 하지 못했다는 게 보수우파 진영의 공통된 생각이다.
미국산 쇠고기 수입을 반대하는 촛불집회 이후에도 불법시위를 주도했던 참여연대 등 진보좌파 단체들을 법대로 처리할 것을 요구했지만 묵살됐던 정통보수의 비판은 더욱 거세다. 이들은 참여연대의 도 넘은 행동은 “처음의 원칙은 잊고 멈칫거렸던 이명박 정부가 자초한 것”이라며 “이제라도 법대로 처리해야 한다”고 요구하고 있다.
국민행동본부 서정갑 본부장은 “국민과 군에 칼을 꽂고도 반성하기는커녕 자기합리화만 늘어놓고 있지 않느냐”며 “시민단체의 떼법적인 행태와 억지주장에 단호히 대처하지 못했던 정부가 나라 망신까지 시킨 꼴이 됐다”고 개탄했다.
서 본부장은 “진보좌파, 친북좌파 단체들의 힘을 너무 키워줬다. 아마 이명박 대통령의 남은 임기 내내 발목을 잡을 것”이라고 우려를 나타내면서 “어정쩡한 중도를 내세워 ‘법대로 원칙대로’를 잊더니 이런 사단이 났다”고 이 대통령을 강하게 비판했다.
그는 이어 “불과 얼마 전에 ‘강력한 응징’을 밝히더니 입술에 침이 마르기도 전에 또 멈칫거리고 있다”면서 “우리나라와 대통령을 웃음거리로 만든 이런 사람들을 아예 (북으로 가도록) 휴전선으로 보내지 못할 바에는 정도는 벗어나지 않게끔 유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라이트코리아 봉태홍 대표는 이 대통령의 ‘중도실용’과 정부의 잘못된 대응을 문제삼았다.
그는 “대통령이 법과 원칙에 대한 의지를 가진 것은 알겠다”며 “하지만 보수우파 정권으로서 과연 무엇을 했는지 잘 모르겠다”고 꼬집었다.
봉 대표는 좌편향 시비가 일었던 인사들을 기용하고 중도실용을 강조, 보수우파에게 배신감을 안겨줬다며 “미국은 국체부정세력을 단호히 엄단한다. 그런데 이 대통령의 ‘중도실용’은 국체는 상관없이, 반국가세력마저 포용하는 것인 듯 하다”고 질타했다.
그는 “이 대통령이 참여연대와 같은 단체들이 떼법, 위법적 행동을 해도 원칙대로 처리하지 못한 탓에 있을 수 없는 일이 일어난 거 아니냐”며 “색깔론이 아니라 국가정체성과 관련된 사안이니 만큼, 반국가적 행태에 어떤 식으로든 불이익을 줘야 한다”고 힘주어 말했다.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