與 '1인1표' 논란…정청래 '당권연임 염두?' 졸속 추진에 파열음 [정국 기상대]

김찬주 기자 (chan7200@dailian.co.kr)

입력 2025.11.25 06:10  수정 2025.11.25 06:10

'정청래룰' 강행에 고성 지르며 격론

이언주 "밀어붙이기식 폐지가 맞나"

최종관문 중앙위원회 일주일 미뤄져

강성 당원 업고 당권 연임 의구심도

정청래 더불어민주당 대표 ⓒ뉴시스

정청래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추진하던 '전당원 1인 1표제' 당헌·당규 개정안이 당내 이견 속출로 처리가 연기됐다. 이번 개정안 추진의 배경으로 정청래 대표가 강성 당원의 표심을 겨냥한 연임 포석이 아니냐는 의구심까지 제기되는 상황이다. 그간 '명청(이재명·정청래) 갈등설'이 나올 때마다 '원보이스'를 주장하며 진화에 나서던 정 대표의 위상이 휘청이는 모양새다.


조승래 민주당 사무총장은 24일 당무위회의를 마친 뒤 기자들과 만나 "1인 1표제 도입 등 당헌·당규 개정에 대해 대체로 동의가 됐으나, 일부 우려가 있기 때문에 보완책을 더 논의하기 위해 중앙위를 당초 오는 28일에서 12월 5일로 연기하고자 한다"며 "의견을 더 듣고 보완책을 구체화하자는 데 공감대가 형성됨에 따라 정 대표가 중앙위 일정 수정안을 직접 발의했다"고 설명했다.


이날 당무위에서는 격론이 오갔다. 이번 당헌 개정안은 '표의 등가성'을 내세워 대의원과 권리당원 표의 가치를 같은 1표로 맞추는 게 골자다. 문제는 '투표율'이다. 앞서 실시된 전 당원 투표에서 찬성이 86.81%로 집계됐지만, 투표율은 16.81%에 불과했다. 그러나 정 대표는 "90% 가까운 당원 뜻은 거스를 수 없는 대세"라며 최고위에서 해당 안건을 의결했다.


이후 당의 헌법과 같은 당헌 개정이 충분한 숙의 없이 졸속으로 추진된다는 후폭풍이 이어졌고, 지도부 일각에서는 불만을 공개적을 표출하며 갈등이 수면 위로 드러났다. 이언주 최고위원은 이날 최고위원회의에서 "중요 제도를 충분한 숙의 과정 없이 단 며칠 만에 밀어붙이기식으로 폐지하는 게 맞느냐"고 정 대표를 직격했다.


이 최고위원은 또 "대통령 순방 중 이렇게 이의가 많은 안건을 밀어붙이고, 당원들을 분열시킬 필요가 있느냐"며 "무조건 정해졌으니 따라오라는 방식은 민주적 절차에 부합하지 않는다"고 일갈했다. 그는 정 대표 면전에서 이같은 비판 발언 직후 회의장을 떠났고, 이 상황에 당황하는 다른 최고위원들의 모습도 포착됐다.


원외 최대 친명(친이재명) 조직인 더민주혁신회의의 반발도 이어졌다. 앞서 이들은 논평에서 "정청래 지도부의 행보에 대한 당원들의 우려가 점점 커지고 있다"며 "164만 5000여명 권리당원의 압도적 다수인 83.19%가 여론조사에 불참했는데, 압도적 찬성이라는 지도부의 자화자찬이 낮뜨겁다"고 힐난했다.


정청래 더불어민주당 당시 신임 당대표가 지난 8월 2일 오후 경기 고양시 킨텍스에서 열린 8·2 임시전당대회에서 수락연설을 위해 단상으로 향하고 있다. ⓒ데일리안 홍금표 기자

일각에선 정 대표가 대표 연임을 하기 위한 사전 작업에 나선 게 아니냐는 의구심도 제기된다. 지난 전당대회에서 강성 당원의 지지를 얻어 당선된 정 대표가 '1인 1표제'를 도입해 내년 8월 전당대회에서 연임에 성공한 뒤, 2028년 제23대 총선 공천권까지 손에 쥐겠다는 의도라는 것이다.


서용주 민주당 전 상근부대변인은 CBS라디오에서 "정 대표가 연임을 생각한 것 아니냐는 오해를 받을 만한 상황이고, 왜 이렇게 급하냐는 목소리가 나온다"며 "우연의 일치라고 해야 하는데, 우연이 반복되면 의도가 보인다는 오해가 생긴다"고 지적했다.


실제 정 대표는 지난 8월 임시 전당대회에서 경쟁자였던 박찬대 의원을 권리당원 투표에서 30%p 이상 앞선 반면, 전국대의원 투표에서는 박 후보에 6.18%p 뒤쳐졌다. 이때 대의원의 표 반영 비율은 권리당원의 17배였다. 권리당원 투표에서 압승한 것이 당선에 결정적이었단 해석이다.


특히 전당대회 과정에서 친(親)민주당 성향의 유튜버 김어준 씨도 정 당시 후보에 힘을 실었고, 이후 정 대표는 김 씨가 만든 '딴지일보'가 민심의 척도라고 주장하며 친명(친이재명)·친청(친정청래) 계파 분산을 시도한다는 분석이 나왔다.


이른바 '대의원 힘빼기' 당헌·당규 개정 추진으로 안팎의 혼란이 이어지자 정 대표도 한 발 물러났다. 박수현 수석대변인은 기자들과 만나 "나는 전당대회 때 1인 1표를 공약했고 이것이 시대적 조류이고 과제지만, 내용에 부족한 점이 있으니 숙의과정을 거치자는 의견이 모아졌다"며 "중앙위가 일주일 연기된 동안 보완책을 마련해 당원주권시대를 활짝 열기 바란다"고 정 대표의 당부 사항을 전했다.


그러면서도 "내가 국회의원 (온라인) 대화방을 비롯한 여러 대화방을 살펴봐도 1인 1표제에 반대하는 의견은 없는 것으로 알고 만장일치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라면서도 "우리가 충분히 숙의한 내용을 잘 토론해서 정리되길 바란다. 어떤 의견이든 개진한 당원들에 대해 감사 말씀을 드린다. 이 또한 당에 대한 사랑"이라고 정 대표의 발언을 설명했다.

0

0

기사 공유

댓글 쓰기

'정국 기상대'를 네이버에서 지금 바로 구독해보세요!
김찬주 기자 (chan7200@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관련기사

댓글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