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실 "동북아 3국 표기 '한중일' 유지할 방침"

맹찬호 기자 (maengho@dailian.co.kr)

입력 2025.11.17 10:45  수정 2025.11.17 10:48

"'한중일' 사용해 불필요한 혼선·논란 방지"

이재명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지난 1일 경북 국립경주박물관에서 한중 정상회담에 앞서 악수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재명 정부가 앞으로 임기 중 동북아 3국의 공식 표기 순서를 '한중일'로 계속 통일할 방침이라고 거듭 강조했다.


대통령실은 17일 언론 공지를 통해 "국제회의체에서 관련국간 별도로 합의된 룰이 없는 경우 관행과 언어적 편의 등을 고려해 국가명 표기 순서 방식을 계속 유지할 방침"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앞서 윤석열 정부는 출범 초기 당시 '한중일'이란 표현을 쓰다가 2023년 9월 아세안(ASEAN·동남아시아국가연합) 정상회의를 계기로 '한일중'을 사용한 바 있다. 당시 윤 정부는 '한미일 협력'이 진전된 만큼 자유민주적 가치를 공유하는 일본을 앞세우기로 했다고 그 배경을 설명했다.


대통령실은 "다만 한중일 정상회의의 경우 그간 3국간 합의에 의해 3국간 공동문서 등에 회의 공식 명칭을 표기할 때 국명을 의장국 순(한일중)으로 표기해오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이를 제외하고는 일반적으로 통용되는 '한중일'이라는 용어를 사용해 불필요한 혼선이나 해석의 논란을 방지하고자 한다"고 덧붙였다.


이번 '한중일' 표기 복원 방침을 두고 정부 안팎에서 이재명 대통령의 외교 기조 아래 나온 '대중 유화·대일 강경' 조치 아니냐는 해석이 제기되자, 대통령실 차원에서 논란 진화에 나선 것으로 분석된다.

0

0

기사 공유

댓글 쓰기

맹찬호 기자 (maengho@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관련기사

댓글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