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올바이오파마 美 파트너사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글로벌 임상 순항"

이소영 기자 (sy@dailian.co.kr)

입력 2025.11.11 09:57  수정 2025.11.11 09:58

이뮤노반트, 후보물질 HL161 개발 현황 발표

2026년부터 주요 임상 데이터 순차 공개 예정

한올바이오파마 CI ⓒ한올바이오파마

한올바이오파마의 미국 파트너사인 이뮤노반트가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후보물질인 ‘HL161’의 글로벌 개발에 속도를 높이고 있다. HL161은 한올바이오파마가 개발해 2017년 이뮤노반트의 모회사인 ‘로이반트’에 기술이전한 후보물질이다.


이뮤노반트는 지난 10일(현지시간) 실적 자료를 통해 HL161의 개발 현황을 발표했다. 현재 HL161는 바토클리맙(IMVT-1401)과 아이메로프루바트(IMVT-1402) 등 두 가지 파이프라인으로 개발되고 있다.


차세대 FcRn 치료제 아이메로프루바트는 ▲그레이브스병 ▲난치성 류마티스 관절염 ▲중증근무력증 ▲만성 염증성 탈수초성 다발성 신경병증 ▲쇼그렌증후군 ▲피부 홍반성 루푸스 등 총 6개 자가면역질환을 대상으로 임상을 순조롭게 진행 중이다.


2026년 난치성 류마티스 관절염 등록 임상 초기 데이터와 피부 홍반성 루푸스 개념입증 임상 탑라인 결과를, 2027년에는 난치성 류마티스 관절염·그레이브스병·중증근무력증에 대한 등록 임상 탑라인 결과를 순차적으로 공개할 예정이다.


이뮤노반트는 두 건의 바토클리맙 갑상선안병증(TED) 임상 3상을 진행하고 있으며 첫 번째 임상은 예정대로 올해 12월 안에 완료될 것으로 보고 있다. 다만 첫 번째 임상 결과를 연말에 발표하지 않고 두 건의 임상 데이터를 내년 상반기 통합 발표할 계획이다.


두 번째 임상은 내년 상반기 이전 완료가 예상된다. 한올바이오파마는 이뮤노반트와의 긴밀한 논의를 거쳐 각각의 임상 데이터를 확보하는 대로 탑라인 결과를 발표할 예정이다.


한올바이오파마 정승원 대표는 “파트너사와의 협력을 통해 임상 프로그램의 결과를 투명하게 공유할 것”이라며 “갑상선안병증 데이터를 바탕으로 일본에서의 바토클리맙 상업화를 위한 준비를 이어나갈 예정”이라고 말했다.

0

0

기사 공유

댓글 쓰기

이소영 기자 (sy@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관련기사

댓글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