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최다 명품 라인업에 식품관 등 공간 혁신 적중
신세계백화점 강남점 전경.ⓒ신세계백화점
신세계백화점 강남점은 지난 7일 올해 누적 매출(거래액) 3조원을 돌파했다고 9일 밝혔다. 강남점은 2023년부터 3년 연속 매출 3조원을 넘어서고 있다.
특히 올해 3조원 달성 시점은 2년 전(12월24일)보다 두 달, 지난해(11월28일)보다 3주 앞당긴 최단 기록이다.
강남점은 상반기 내수경기 침체 속에서도 올해 11월 초까지 8.1%의 견고한 매출 신장률을 기록하며, 국내 백화점 중 가장 먼저 3조원을 돌파해 '단일 점포 매출(거래액) 1위'의 위상을 확고히 했다. 지속적인 투자와 공간혁신으로 본업 경쟁력을 끌어올린 결과다.
특히 신세계 강남점이 국내 단일 점포 기준 최대 명품 라인업을 앞세워 매출 4조원 시대를 향해 나아가고 있다. 올해 강남점 명품 매출은 전체 매출의 40%를 차지하며 고객들의 높은 관심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강남점에는 에르메스(4개), 루이 비통(3개), 샤넬(4개)를 비롯한 ‘에루샤’ 3대 명품과 구찌(6개), 디올(4개), 보테가베네타, 프라다 등 글로벌 브랜드가 남성·여성 부티크, 뷰티, 슈즈, 주얼리, 키즈라인 등 세분화된 형태로 약 100여 개 매장에 걸쳐 입점하며 국내 최대 압도적 라인업을 구성하고 있다.
또한 ‘국내 최초’와 ‘유일’이란 수식어는 항상 강남점과 함께한다. 프랑스 력셔리 브랜드 디올의 키즈 버전인 ‘베이비디올’ 매장도 국내 최초 강남점에서 선보였고 지난해에는 프랑스와 일본에 이어 전세계 3번째이자 국내 첫 루이 비통 주얼리 전문 매장을 오픈한 바 있다. 럭셔리 워치 브랜드 오데마피게의 국내 유일 매장을 신세계 강남점에서 운영하고 있다.
무엇보다 불가리, 티파니, 까르띠에, 반클리프 앤 아펠 등 세계 4대 명품 주얼리를 모두 갖춘 강남점은 혼인율 증가와 함께 럭셔리 주얼리 매출이 꾸준히 성장하고 있다. 올해는 VIP 고객을 중심으로 다양한 워치·주얼리 행사를 진행하며 올 10월까지 전년 대비 매출이 30% 이상 증가했다.
식품관 재단장도 주효했다. 재단장 이후 강남점 식품관은 매출이 20% 이상 늘고 주말 기준 하루 외국인 고객을 포함해 10만명이 넘게 찾는 글로벌 명소로 거듭났다.
우수고객(VIP)도 탄탄하다. 강남점 매출 중 VIP가 차지하는 비중이 올해 처음 절반(52%)을 넘겼다. 불황속에서도 흔들림 없는 구매력을 선보이며 VIP 전체 매출 또한 8% 넘는 성장을 보였다.
특히 신세계백화점 VIP 중 엔트리 등급인 레드(구매 금액 500만원 이상) 고객의 수가 10%가량 성장세를 보이면서 우수고객의 볼륨이 커지고 있다는 점은 향후 강남점의 전망을 밝게 만들고 있다.
강남점은 외국인 관광객도 찾는 ‘글로벌 랜드마크’ 입지를 공고히 하고 있다. SNS를 통해 입소문이 난 스위트파크와 하우스 오브 신세계, 그리고 이번에 오픈한 델리 전문관까지 국내 최대 식품관을 찾아온 관광객들이 몰리며 외국인 매출이 71% 이상 급증했다.
또 신세계 강남점만의 단독 IP를 활용한 팝업스토어는 2030 고객을 강력하게 유인하고 있다는 점도 특징이다. 올해만 160만 명의 2030 고객이 강남점 팝업스토어를 이용했으며 구매고객 중 강남점 구매 이력이 없던 신규 고객 수는 70%에 달했다.
내년 신세계 강남점의 시선은 매출 4조원를 바라보며 세계 최고 백화점에 향해 있다. 이제 일본의 이세탄 백화점(2024년 약 4조3000억원), 영국 해러즈 백화점(2024년 약 4조8000억원) 같은 글로벌 명품 백화점들과 어깨를 나란히 하고 본격적인 경쟁에 나설 계획이다.
박주형 신세계백화점 대표이사 사장은 "강남점은 매출 3조 조기달성이라는 성과에 머물지 않고 글로벌 TOP백화점으로 올라서서 K백화점의 위상을 한층 높여 세계속의 백화점으로 사랑받을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혁신을 해 나가겠다"며 "강남점을 필두로 전국 주요 거점에서 지역의 랜드마크 점포들로 포진시켜 백화점의 경쟁력을 차원이 다른 레벨로 운영하는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0
0
기사 공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