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손익이 버텼다’…지주계 보험사, 본업 부진 속 실적 방어

김민환 기자 (kol1282@dailian.co.kr)

입력 2025.11.10 07:32  수정 2025.11.10 07:32

금리 안정·자산시장 회복에 수익률 2% 중후반

채권·대체투자 수익 개선…운용효과 당분간 지속 전망

금융지주계 보험사들이 올해 3분기에 보험영업 부진을 자산운용 성과로 메우며 실적을 방어했다.ⓒ데일리안 AI 삽화 이미지


금융지주계 보험사들이 올해 3분기에 보험영업 부진을 자산운용 성과로 메우며 실적을 방어했다.


금리 안정과 자산시장 회복세가 이어지면서 채권·부동산·대체투자 등에서 고른 수익이 발생한 영향이다. 보험손익은 악화됐지만 일부 회사에서 투자손익이 급증하면서 순이익 감소 폭을 줄였다.


10일 보험업계에 따르면 KB·신한·하나·우리금융 등 4대 금융지주 계열 보험사 8곳의 올해 3분기 누적 순이익은 1조6751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1조7606억원) 대비 4.9% 감소했다.


보험영업 부문 손익이 줄었지만, 채권 평가이익 확대와 자산운용 수익 개선이 실적 방어 역할을 했다.


▼ 관련기사 보기
KB손보, 3분기 누적 순이익 7669억원…전년 대비 3.6% 증가
신한라이프, 3분기 누적 순이익 5145억원…전년 대비 10.1% 증가
KB라이프, 3분기 누적 순이익 2548억원…전년 대비 2.3% 감소
동양생명, 3분기 누적 순이익 1099억원…전년 대비 55%↓


대표적으로 KB손해보험은 보험영업 악화에도 불구하고 자산운용이 실적을 끌어올린 사례다. 3분기 누적 순이익이 7669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6% 늘었다.


의료비 상승과 보험료 인하, 자동차보험 손해율 상승 등으로 보험손익은 25.9% 줄었지만, 투자손익이 3942억원으로 173.4% 늘면서 전체 순익을 견인했다. 초장기 국채 매입과 선도거래를 통한 자본건전성 관리, 대체투자 확대가 주효했다.


생명보험사에서도 비슷한 흐름이 이어졌다. 신한라이프는 자산·부채관리(ALM) 강화와 우량 장기채 중심 운용에 힘입어 금융손익이 1789억원으로 49.6% 늘었다.


보험손익은 5738억원으로 4.4% 줄었지만, 주식·유가증권 운용이익이 꾸준히 확대되며 순이익(5145억원)이 지난해 대비 10.1% 증가했다. 안정적인 채권 운용과 자산·부채관리(ALM) 강화가 수익성 개선을 뒷받침한 것으로 분석된다.


이 같은 흐름은 KB라이프에서도 확인된다. 3분기 누적 순이익은 2548억원으로 소폭(-2.3%) 감소했지만, 투자손익이 14.2% 늘며 전반적 하락세를 방어했다.


보험손익은 10.5% 줄었는데, 예정이율·실제이율 차이 축소(예실차)와 손실계약 확대가 영향을 미쳤다. 반면 채권 교체매매와 환차익 등 운용 효과로 전체 순익 감소 폭을 최소화했다.


반면 올해 새로 보험사를 편입한 우리금융그룹은 다른 지주사들과는 온도차를 보였다.


동양생명의 3분기 누적 순이익은 1099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55.1% 급감했다. 선제적 충당금 적립과 채권 중심의 보수적 운용으로 보험손익(950억원)과 투자손익(535억원)이 모두 50% 안팎 줄면서 단기 실적이 크게 위축됐다.


이외에도 하나생명은 순이익이 177억원으로 26.3% 줄었으며, 하나손해보험과 신한EZ손해보험은 각각 324억원, 272억원의 적자를 기록하며 지난해보다 손실 폭이 확대됐다.


업계에서는 금리 안정세와 자산시장 회복이 맞물리며 업권 전반의 투자수익률이 개선된 것으로 보고 있다. 생명보험사는 변액보험 계정의 주식형 자산 반등과 채권 평가이익 확대가, 손해보험사는 장기채 중심 운용과 대체투자 성과가 실적 방어에 기여했다. 새 국제회계기준(IFRS17)과 지급여력(K-ICS·킥스)비율 도입으로 자산·부채 시가평가가 확대되면서 손익과 자본의 시장 민감도가 높아진 점도 영향을 미쳤다.


보험업계 관계자는 “현재 보험사 투자수익률이 2% 중후반 수준에 안착한 상황으로, 안정적 수익 확보와 수익률 제고를 병행하려는 흐름이 업권 전반에 퍼져 있다”며 “안정적인 채권 운용을 유지하면서도 부동산·대체투자 등에서 수익률을 높이는 시도가 이어지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또 “후순위채 발행은 단순히 보완자본 확충을 위한 목적이 아니라 조달금리(4~5%) 이상의 수익을 낼 수 있는 운용 효율화를 병행하려는 측면이 크다”며 “현재와 같은 경제환경에서는 이런 추세가 당분간 유지될 가능성이 높다”고 덧붙였다.

0

0

기사 공유

댓글 쓰기

김민환 기자 (kol1282@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관련기사

댓글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