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브란스병원, 30세 성인 대상 연구결과 발표
(왼쪽부터) 이호규, 하경화, 지종현 교수 ⓒ세브란스병원
젊은 성인기에 심혈관 건강을 꾸준히 관리하면 중년 이후 심뇌혈관질환과 신장질환 발생 위험을 크게 줄일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이호규·하경화 연세대 의대 예방의학교실 교수, 지종현 강남세브란스병원 신장내과 교수 연구팀은 30대에 꾸준히 심혈관 건강 상태를 유지한 경우, 중년 이후 심뇌혈관질환이나 신장질환 발생 위험을 최대 70% 이상 낮출 수 있다고 24일 밝혔다.
연구팀은 국민건강보험 빅데이터를 활용해 2002~2004년 국가건강검진에 참여한 30세 성인 24만1924명을 대상으로 심혈관 건강 점수와 심뇌혈관질환 및 신장질환 발생 위험 간의 연관성을 분석했다.
심혈관 건강 점수는 신체활동, 흡연, 체질량지수, 혈압, 혈당, 혈중 지질 6개 항목을 기준으로 각 검진 시점마다 평가했으며 이를 종합해 30세부터 40세까지 10년간의 누적 점수를 구하고 5분위수로 분류했다. 이후 평균 9.2년간의 추적 관찰을 진행했다.
분석 결과 심혈관 건강 수준이 상위 20%인 집단(Q5)의 심뇌혈관질환과 신장질환 연간 발생률은 0.05%에 불과했으며, 심혈관 건강 수준이 하위 20%인 집단(Q1)과 비교해 심뇌혈관질환 발생 위험은 73%, 신잘질환 발생 위험은 75% 낮은 것을 확인했다.
심혈관 건강을 더 높은 수준으로, 더 오랜기간 유지할수록 누적 효과가 뚜렷하게 나타났다.
이호규 교수는 “이번 연구를 통해 젊은 성인기의 심혈관 건강 수준을 종합적으로 평가하고 이를 장기 추적함으로써, 건강 습관 및 요인의 형성과 지속성이 향후 질병 예방에 미치는 누적 효과를 규명했다”면서 “평생 심뇌혈관질환 예방 전략을 수립하는데 있어 장년기 또는 노년기의 치료를 넘어 생애주기 전반에 걸친 포괄적 건강 관리로의 전환이 필요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미국의사협회저널 심장학(JAMA Cardiology, IF 14.1)’에 게재됐다.
0
0
기사 공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