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지·중지·현지'…국민의힘 "당연히 나오지 않겠지" 하면서도 파상공세 이유는

오수진 기자 (ohs2in@dailian.co.kr)

입력 2025.10.16 04:15  수정 2025.10.16 04:15

'그림자 실세' 김현지, 국감장 곳곳서 소환

끝없는 의혹 속에도 불출석 기류는 뚜렷

국민의힘, 불출석 전제하면서도 압박 강화

국민의힘 지도부 "한 번 두고보자" 날세워

장동혁 국민의힘 대표가 지난 13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발언을 하고 있다. ⓒ뉴시스

야당을 중심으로 대통령의 최측근이자 '그림자 실세'로 불리는 김현지 대통령실 제1부속실장을 국회 운영위원회를 비롯해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법제사법위원회 등 상임위 곳곳 국정감사장에서 불러 세우려는 움직임이 거세지고 있는 반면, 더불어민주당을 방패막으로 삼은 김 실장의 불출석 기류도 한층 뚜렷해지고 있다.


그럼에도 국민의힘은 김 실장을 둘러싼 각종 의혹이 끊이지 않고 제기되고 있는 만큼, 김 실장이 국감에 불참할 것이란 것을 전제로 파상공세를 이어가겠다는 방침이다.


주진우 국민의힘 의원은 15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김 실장은 김용 전 민주연구원 부원장 사건에도 깊숙이 관여한 정황이 있다"며 김 실장의 국감 출석을 요구했다.


주진우 의원은 "김용은 이 대통령 최측근이다. 20대 대선 경선 과정에서 대장동 업자 유동규, 남욱으로부터 불법 대선자금 6억원을 받은 혐의로 재판 중"이라며 "김용이 검찰에 체포영장으로 체포됐을 때 김용의 변호를 맡은 이상호 변호사는 김용의 체포영장을 몰래 김현지 보좌관에게 보낸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주 의원은 "누구에게 보고했겠느냐. 또 모든 공범 사건을 이렇게 관리해 왔고 지금도 관리하고 있지 않나"라며 "김용이 불법 대선자금을 받으면 후보자인 이재명을 위해 쓰이기 마련"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김용 부원장의 체포영장을 유출하고 이를 받은 김 실장과 이 변호사도 엄중 수사해야 한다"며 "이런 것들을 명명백백히 밝히기 위해서 국감의 출석과 증언이 반드시 필요하다. 피하는 자가 범인이다. 김 실장과 민주당은 국감 증인 수용하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날 농해수위 해양수산부 국감에서도 김 실장이 등장했다. 야당 의원들은 신임 김인호 산림청장이 김 실장과 개인 인연으로 임명됐다는 의혹을 제기하며 여당을 향해 김 실장이 산림청 감사와 종합감사에 증인으로 출석하도록 적극 협조하라는 뜻을 강하게 피력했다.


행정안전위원회에서는 김 실장의 재산 공개 문제를 두고 설전이 벌어졌다. 국민의힘이 김 실장이 이재명 대통령의 국회의원 시절 보좌관으로 재직할 때와 비교해 재산이 크게 늘었다며 의혹을 제기하자, 인사혁신처는 "원칙상 불가"를 이유로 공개를 거부했다.


김현지 제1부속실장이 13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열린 수석보좌관회의에서 이재명 대통령의 발언을 듣고 있다. (대통령실통신사진기자단) ⓒ뉴시스

고동진 의원은 "인사처에 '김 부속실장이 보좌관 시절 등록한 재산 내역을 제출해 달라'고 했지만 공직자윤리법에 따른 비공개 대상이라며 제출하지 않고 있다"며 "인사처가 대통령의 측근이라는 이유로 자료 제출을 거부하는 것은 국회의 감사권 우롱"이라고 질타했다.


장동혁 대표는 김현지 실장이 쌍방울그룹의 불법 대북송금 사건으로 검찰 수사를 받고 있던 이화영 전 경기도 평화부지사로부터 보고를 받았다는 의혹을 두고 "빙산의 일각"이라며 공세에 불을 붙였다.


장 대표는 "김 실장에 대한 모든 의혹은 대통령실과 민주당이 키운 것"이라며 "총무비서관이 기관 증인으로서 출석한 것은 당연한 관례다. 당연한 관례에 따라 요구하자 보직을 변경한 것은 대통령실, 옹호한 것은 민주당이다. 그때부터 의혹이 커졌고 새로운 사실이 발견되며 그 의혹은 불안으로 이어졌다"고 꾸짖었다.


이어 "김 실장이 계속 출석하지 않는다면 언젠가 그 불안은 공포로 바뀌게 될 것"이라며 "국민들의 불안과 의혹을 해소하기 위해 반드시 출석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국민의힘이 현재 운영 중인 제보 센터를 통해서도 김 실장과 관련된 의혹들이 더 제기될 것으로도 기대했다.


그러나 현재로서는 김 실장이 국감에 출석하지 않을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점쳐진다. 대통령실과 민주당 내부에서 결국 김 실장 불출석 쪽으로 가닥을 잡았단 전언이 흘러나오고 있다.


국민의힘도 이러한 흐름을 감지하고, 시간을 두고 여론전에 나서겠다는 방침이다. 끊임없이 제기되는 의혹으로 정부와 민주당이 민심을 잃을 가능성이 큰 만큼 이를 오히려 역공의 발판으로 삼겠다는 전략으로 읽힌다.


당 지도부 관계자는 데일리안에 "당연히 김 실장이 국감에 출석하지 않으려고 하지 않겠느냐"라며 "한 번 두고 보자"라고 예고했다.

0

0

기사 공유

댓글 쓰기

오수진 기자 (ohs2in@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관련기사

댓글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