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체 영업익만 6조 육박... D램 수요가 견인해 매출 86조 '사상 최대'
비메모리 적자 축소·모바일 호조... 5분기 만에 영업익 10조 클럽 복귀
삼성전자가 올해 3분기 10조 클럽에 복귀했다. 최근 출시한 삼성 갤럭시 폴더블 신제품의 흥행과 그간 고전했던 반도체 사업이 활로를 찾으면서다. 시장의 기대치를 훌쩍 뛰어넘는 매출 86조원, 영업익 12조원을 쓰며 이른바 어닝 서프라이즈를 기록했다.
14일 삼성전자는 올해 3분기 영업이익 12조1000억원을 기록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공시했다. 직전 분기 대비 158.55%, 전년 동기 대비 31.81% 증가한 수치다. 매출은 86조원으로, 전기보다 15.33%, 전년 동기보다 8.72% 상승한 수치로, 사상 최대치다.
삼성전자가 영업이익 10조원을 돌파한 것은 지난해 2분기(10조4400억원) 이후 5개 분기 만이다. 동시에 2022년 2분기(14조1000억원) 이후 3년여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이다.
앞서 증권가는 삼성전자 3분기 영업이익을 9조원대로 전망했다가 점차 눈높이를 상향 조정하는 흐름을 보였다.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최근 삼성전자의 3분기 영업이익 컨센서스(증권사 전망치 평균)는 10조1427억원이었다.
상향 조정한 시장 전망치를 또 한번 뛰어넘은 삼성전자의 이번 호실적 배경에는 반도체 부문이 있다. 잠정 실적이라 세부 실적이 공개되지 않지만, 그간 부진했던 반도체에서 약 6조원대에 가까운 영업이익을 거뒀을 것으로 시장은 예상하고 있다.
전반적으로 메모리 실적이 개선되고 비메모리 적자폭이 축소된 덕분이다. 또한 최근 범용 D램 메모리 가격이 수요 상승과 공급 부족에 힘입어 크게 상승한 것도 실적 개선을 이끈 주요 원인으로 주목받는다.
삼성전자가 수익성이 높은 고대역폭메모리(HBM) 메모리 비중을 높이고 범용 D램 공급에 제한을 걸면서 D램가격 상승을 이끈 것이다. D램 가격 상승 효과는 4분기에도 나타날 가능성이 높다.
파운드리와 시스템LSI 등 비메모리 분야의 적자 규모도 다소 감소한 것으로 보인다. 동시에 모바일 사업부의 하반기 갤럭시 폴더블 신제품 판매 증가 역시 이번 전사 실적에 큰 영향을 줬을 것으로 보인다. 약 3조원대의 영업이익을 기록했을 것으로 전망된다.
다만 가전 사업은 시장 환경 악화로 상대적으로 부진한 모습을 보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증권가는 TV와 생활가전 사업부의 경우 전년동기(5300억원) 대비 소폭 감소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같은 호실적 분위기가 내년까지 지속될 수 있다는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삼성전자의 추후 실적 전망도 긍정적이다. 범용 메모리를 중심으로 한 슈퍼사이클이 당분간 지속될 것이란 관측이 높아지면서다.
경쟁사보다 뒤처졌던 HBM도 실적 개선에 한몫할 가능성이 높다. 최근 삼성전자는 오픈AI와 손잡고 미국 700조원 규모의 대규모 프로젝트인 스타게이트에 AI 메모리를 대규모 공급하기로 했다.
또한 삼성전자가 HBM3E 12단을 사실상 독점 공급하던 AMD가 오픈AI와 대규모 그래픽처리장치(GPU) 공급 계약을 맺으면서 HBM 출하량 확대도 기대되는 대목이다.
김동원 KB증권 연구원은 "올 하반기 삼성전자의 HBM 출하량은 상반기 대비 2배 이상 급증할 것"이라며 "범용 메모리 공급이 제한적인 상황에서 서버용 수요가 늘어나 D램과 낸드의 가격 상승 추세도 당분간 지속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한편 삼성전자의 이번 잠정 실적은 한국채택 국제회계기준(IFRS)에 의거해 추정한 결과다. 아직 결산이 종료되지 않은 가운데 투자자들의 편의를 돕는 차원에서 제공된다. 사업부문별 구체적인 실적은 이달 말 공개될 예정이다.
0
0
기사 공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