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27 대출규제, 9·7 공급대책에도 4주 연속 상승폭 확대
성동·마포·광진구 등 한강벨트로 곳곳 부동산 ‘불장’
추가 부동산 규제 조치 전망에 실수요자 불안심리 증폭
정부가 서울을 중심으로 번지는 부동산 시장 변동성을 안정화하고자 대출 규제 등 수요 억제와 주택 공급 대책이라는 처방을 내렸지만 오히려 서울 아파트값 상승세에는 가속도가 붙고 있다.
향후 토지거래허가구역(토허제) 확대 지정 및 추가적인 대출규제 강화 조짐이 예상되자 실수요자들의 불안심리가 커지며 매수에 뛰어드는 것으로 파악된다.
3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추석 직전인 9월 다섯째 주(29일 기준) 서울 아파트값은 0.27% 올랐다. 이는 일주일 전 0.19% 상승한 것보다도 더 큰 폭으로 오른 수치다.
서울 아파트값은 6·27 대출규제가 시행된 이후 오름세가 둔화되는 모습을 보였으나 9·7 부동산 대책 발표 직후인 9월 둘째 주부터 4주 연속 상승폭을 키우고 있는 상황이다.
아파트 매매거래량도 회복세다. 지난 7월과 8월 각각 4049건, 4198건으로 서울 아파트 매매거래량은 지난 6월(9405건) 대비 대폭 줄었으나 지난달 거래량은 5000~6000건 수준을 회복할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 2일 기준 서울 아파트 매매 거래량은 4615건을 기록했으며 신고 기한이 이달 말까지인 점을 고려하면 거래량은 증가할 전망이다.
사실상 대출규제는 약발이 떨어지고 공급 대책은 내 집 마련 수요를 달래지 못하고 있는 셈이다.
특히 서울 등 수도권에선 다주택자에 대한 주택담보대출을 제한하는 등 실거주 수요 위주로 관리를 꾀하고 있지만 실수요자들은 추가적인 부동산 규제 조치를 우려하며 주택 매수세를 키우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현재 강남3구(강남·서초·송파구)와 용산구로 제한된 부동산 규제지역이 인접 지역으로 확대 지정될 경우 주담대 담보인정비율(LTV)이 70%에서 40%로 대폭 낮아지는 등 대출 문턱이 대폭 높아질 수 있다.
토지거래허가구역 역시 한강벨트까지 확장될 경우 실거주 의무가 부여되고, 자금 출처 등을 깐깐하게 검증하는 만큼 추가적인 조치가 이뤄지기 전 주택을 매수해야 한다는 움직임이 감지되는 것이다.
실제로 최근 급격한 오름세를 이끌고 있는 곳은 강남3구(강남·서초·송파구), 용산구 등이 아니라 성동구와 광진구, 마포구 등 강남권과 인접한 한강벨트 지역들이었다.
지역별 아파트값 변동률을 살펴보면 서초구가 0.24%, 강남구가 0.20%, 송파구가 0.49%, 용산구가 0.47% 오르는 동안, 성동구는 0.78% 오르며 서울 내에서 가장 큰 상승폭을 보였다. 이어 마포구가 0.69%, 광진구가 0.65% 오르며 강남권 상승률을 크게 상회했다.
윤수민 NH농협은행 부동산전문위원은 “최근 부동산 시장에서 불안을 키우는 가격대는 10억원대 아파트다”며 “마포구나 성동구 등 실거주 수요가 있는 중산층들이 어떻게 대출을 최대한 끌어와서 내 집 마련을 할 수 있는 그런 가격대 아파트의 가격이 오르고 있다”고 설명했다.
또 다른 부동산 업계 관계자도 “9·7 대책에서도 강남3구와 용산구를 넘어 성동구와 마포구 등 지역으로 규제지역 및 토허제가 확대되는 거 아니냐는 분위기가 형성되는 것이 영향을 미쳤다”며 “결국 투자 수요나 강남권 등 초고가 아파트들이 집값을 띄우는 게 아니라 불안 심리가 큰 실수요자들이 매수에 뛰어들면서 가격이 오르는 양상”이라고 분석했다.
0
0
기사 공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