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출국 전 극저신용대출 이용자들과 긴급 간담회
이재명 대통령의 경기도지사 시절(민선 7기) ‘극저신용대출’을 김동연 경기도지사ri 22일 ‘단비’였다고 정의했다.
김 지사는 중국 출장 직전인 이날 오전 집무실에서 극저신용대출 이용자 3명을 초청해 간담회를 했다.
김 지사는 “최근에 극저신용대출 관련해서 이런 저런 얘기가 있고 어떤 사람들은 이 제도를 폄훼한다”면서 “하지만 (극저신용대출은) 어려운 처지에 있는 분들에게 어떻게 보면 공공이나 사회에서 할 수 있는 마지막 수단, 또는 내미는 마지막 손 같은 역할”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대한민국 경제를 위해서 가야할 길”이라고 강조했다.
민선 7기 정책을 이어받은 김 지사의 민선 8기는 제도 관리에 만전을 기했다.
현재 대출금을 모두 갚은 완전상환자는 24.5%다.
전체 이용자중 24.5%만 갚았다는 뜻이 아니다. 아직 상당수는 대출만기가 도래하지 않았다. 대출자 중 상당수가 기초생활급여를 모아서라도 대출금을 갚는 등 상환 의지가 있어 완전상환자 수치는 계속 올라갈 것이다.
도는 대출과 동시에 정밀 상담을 하면서 상환능력 등을 고려해 대출 만기를 연장해주거나 분할상환 등으로 재약정(35.3%)했다.
연체자는 38.3%인데 문자 접촉 등으로 비율은 계속 감소되고 있다. 지난 4월 대비 12.8% 감소했다
도는 일부 언론이 연체율을 무려 74%라고 보도한 것은 김 지사 지적처럼 명백한 오보라고 했다. ‘74’란 수치는 대출연장 등의 재약정(35.3%)에 연체자(38.3%)를 더한 것이다. 하지만 대출 ‘연장’은 ‘연체’와 엄연히 다르다.
경기극저신용대출이란 서민정책금융 사업은 단순한 금융지원이 아니다. 금융지원은 물론 채무관리·상담·사회복귀 지원까지 포함돼 있다는 것이 프로그램의 핵심이다. 금융지원에 ‘사회적 회복 프로그램’을 더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이 제도가 정착될 경우 불법사금융 피해를 막는데도 도움이 된다.
김 지사가‘극저신용대출 2.0’을 선언한 이유다.
김 지사는 “살면서, 어떤 고비에 조금만 누가 손을 뻗쳐주면 좋은 계기가 만들어질 수 있다”면서 “극한의 상황속에서 아주 작은 것일지라도 당사자들에겐 정말 가뭄에 단비 같고, 한편으로는 나를 생각해주는 제도가 있는 나라에 살고 있구나 하는 생각이 들 수 있다는 면에서 극저신용대출이 큰 역할을 한 것 같아 기쁘다”고 말했니다.
이어 “저희가 극저신용대출 2.0으로 다시 한번 좋은 기회를 만들어보도록 하겠다”고 재차 다짐했다.
김 지사는 "민선7기 시절 내렸던 ‘금융단비’, 민선8기에도 내릴 것"이라고 덧붙였다.
0
0
기사 공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