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표준화기구(ISO) 채택… 3년간 논의 끝 국제무대 공식 발간
간편결제·송금 서비스 보안 기준 확립… 해외 진출 문턱 낮춰
국내 핀테크 기업, 국제 인증 기반으로 해외시장 공략 탄력
한국이 국제사회에 제안한 ‘제3자 결제서비스 제공기관을 위한 정보보호 지침 및 요구사항’이 국제표준으로 발간됐다. 네이버·카카오·토스 등 국내 핀테크 기업의 보안 기술이 국제적으로 인정받은 것으로, 해외시장 진출에 발판이 될 것으로 보인다.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과 금융결제원은 2022년 8월 금융서비스 국제표준화위원회(ISO/TC 68)에 제출한 표준안이 약 3년간의 국제 논의를 거쳐 ISO18960 표준으로 확정됐다고 14일 밝혔다.
국내외적으로 제3자 결제서비스가 활발하게 진행 중인 상황에서 산업부 국가기술표준원과 금융결제원은 국내 금융 보안기술을 국제표준에 선제적으로 반영하기 위해 지난 2022년 표준안을 제안했다.
‘제3자 결제서비스’란 고객의 계좌를 직접 보유하지 않은 기관이 모바일이나 온라인에서 결제와 조회, 송금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으로, 네이버, 카카오, 토스 등 핀테크 기업이 서비스 하고 있다.
본 표준은 시스템 개발 및 테스트부터 설치, 운영 및 모니터링에 이르는 제3자 결제서비스 전반의 정보보호 지침이다.
주요 내용으로 △서비스 제공기관이 다뤄야 할 고객의 개인식별 정보관리 △기관의 관리자 접근관리 및 보안구역 출입통제 △시스템 공급업체의 보안관리 등에 대한 요구사항 등이 담겼다.
국가기술표준원은 이번 국제표준 발간으로 국내 금융서비스 기업들이 국제표준에 맞는 품질과 안전성을 갖추게 돼 해외 진출이 더욱 쉬워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김대자 국가기술표준원장은 “이번 국제표준 발간으로 국내 결제서비스 관련 기업은 국제표준에 부합하는 품질과 안전성을 갖추고 해외시장에 진출하기가 용이할 것으로 기대된다”며 “앞으로도 금융서비스 분야에서 우리 기업이 활용가능한 표준을 개발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0
0
기사 공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