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재부, 월간 재정동향 9월호 발표
총수입 385조원…27.8조원 증가
법인세 14.5조원, 소득세 9조원
2차 추경 실적 예산·수입에 일부 반영
실질적인 나라살림 수준을 보여주는 관리재정수지가 지난 7월 말 기준 86조8000억원 적자인 것으로 나타났다. 7월 누계 기준 역대 세 번째를 기록했다.
기획재정부는 11일 ‘월간 재정동향 9월호’를 통해 누적 재정 상황을 설명했다.
기재부에 따르면 지난 7월말 기준 총수입은 전년 동기 대비 27조8000억원 증가한 385조원이다.
국세수입은 지난해 보다 23조8000억원 늘어난 232조6000억원으로 집계됐다. 법인세(14조5000억원)와 소득세(9조원)가 늘어난 영향이다. 반면, 부가세는 1조5000억원 감소했다.
세외수입은 지난해 동기 대비 2조7000억원 증가한 21조2000억원이다. 기금수입은 131조2000억원으로 1년 전과 비교해 1조4000억원 늘었다.
총지출은 전년 동기 보다 33조원 증가한 442조5000억원으로 나타났다.
총수입에서 총지출을 7월 누계 통합재정수지는 57조5000억원 적자 상태다.
사회보장성기금수지 29조3000억원 흑자를 제외한 관리재정수지는 86조8000억원 적자를 기록했다. 관리재정수지의 적자폭은 7월 누계 기준 2020년 98조1000억원, 2022년 86조8300억원 이후 역대 세 번째로 높은 수준이다.
황희정 재정건전성과장은 “(관리재정수지 적자는)연간 기준으로도 역대 세 번째다. 이는 기본적으로 적자가 있다는 의미”라며 “현재 2025년도 결산이 안나왔다. 올해는 예산 기준 수지”라고 설명했다.
중앙정부 채무 잔액은 7월 말 기준 1240조5000억원이다.
8월 국고채 발행 규모는 21조원이다. 국고채 금리는 미국·유럽 등 글로벌 금리 변동 영향 등으로 전월 대비 단기 금리가 하락하고, 장기 금리가 오른 영향이다.
1~8월 국고채 발행량은 166조원으로 연간 총 발행한도의 72.3% 수준이다.
8월 조달금리는 2.55%로 전월(2.60%) 대비 하락했다.
응찰률은 259%로 전월(251%)보다 상승했다.
8월 외국인 국고채는 1조5000억원 순유입됐다.
황 과장은 “이번 9월호에는 7월 4일 국회 확정된 2차 추가경정예산 실적이 예산·수입에 반영돼 있다. 다만, 7월에 국고채가 늘어난 게 모두 추경으로 보기는 어렵다”고 말했다.
0
0
기사 공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