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후 1~2년간 HBM 시장 지위 탄탄"
"삼성전자 대비 경쟁력 등 불확실성도"
국제 신용평가사 S&P글로벌신용평가(이하 S&P)와 피치가 25일 SK하이닉스의 등급전망을 ‘안정적’에서 ‘긍정적’으로 상향 조정했다. 신용등급 자체는 현재의 BBB를 유지했다.
S&P는 등급전망 상향 조정 배경에 대해 “SK하이닉스는 향후 1∼2년간 수익성이 높은 고대역폭 메모리(HBM) 부문의 탄탄한 시장 지위를 바탕으로 재무제표를 지속해서 개선해 나갈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인공지능(AI) 관련 투자 확대로 HBM 수요가 증가하고, 선두 업체인 SK하이닉스는 이러한 HBM 특수를 잘 활용할 수 있는 유리한 입지를 점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S&P는 SK하이닉스의 연간 매출 증가율이 올해 약 24%를 기록한 뒤 내년에는 6% 수준으로 하락할 것으로 추정했다. 상각 전 영업이익(EBITDA) 마진은 올해 약 59%로 최고치를 기록한 후 내년에 약 56%로 높은 수준을 유지할 것이란 전망을 내놨다.
다만 HBM 시장 내 경쟁 확대는 주요 위험 요인이라고 짚었다.
S&P는 “HBM 시장은 최소 2027년까지 지속해 성장할 것”이라며 “경쟁사들의 시장점유율이 상승할 수 있지만, SK하이닉스의 우월한 기술력과 양산 경험을 고려하면 향후 2년간 선도적인 시장 입지가 크게 위축될 가능성은 작아 보인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삼성전자나 마이크론이 기술 격차를 좁히며 당초 예상보다 빠르게 HBM 성장을 시현한다면 SK하이닉스의 성장 전망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진단했다.
피치도 이날 등급전망 상향 조정 이유로 “HBM 부문에서의 경쟁력이 SK하이닉스의 향상된 성과의 주요 동력”이라고 설명했다.
또한 “SK하이닉스 D램 매출에서 HBM이 차지하는 비중은 지난해 30∼40% 수준으로 추정되는데 올해는 더욱 상승해 안정적인 매출 창출과 현금흐름 변동성 감소에 도움을 줄 것”이라고 예상했다.
다만 시장 수요와 미국의 관세 정책, 삼성전자 대비 경쟁력 등 관련 불확실성은 존재한다고 판단했다.
0
0
기사 공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