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토모티브 뉴스'서 그룹 비전·모빌리티 산업 방향성 등 밝혀
"프로세싱 파워 시대로…차세대 모빌리티 핵심 SDV·AI 융합"
"협력은 필수…더 나은 서비스 제공에 도움될 때 파트너십"
정의선 현대자동차그룹 회장이 21일(현지시간) 미국의 자동차 전문 매체 '오토모티브 뉴스'와의 인터뷰에서 그룹의 비전과 모빌리티 산업의 방향성 등에 대한 폭넓은 의견을 제시했다.
이날 현대차그룹에 따르면, '오토모티브 뉴스'는 지난 18일 정주영 창업회장-정몽구 명예회장-정의선 회장 등 3대 경영진을 '100주년 기념상(Centennial Award)' 수상자로 발표하면서 특집 기사를 보도한 데 이어, 이날 정의선 회장과의 인터뷰를 게재했다.
정 회장은 "고객 경험이 완전히 새롭게 바뀔 것"이라며, 차세대 모빌리티 혁신의 핵심으로 SDV와 AI 융합을 제시했다. 정 회장은 "'마력(horsepower)'에서 '프로세싱 파워(processing power)'로 모빌리티 전환이 이뤄지는 시대로 진입하고 있다"며 "전동화가 파워트레인을 재정의했다면, 소프트웨어는 제품 개발과 차량 아키텍처부터 사용자 상호작용과 비즈니스 모델에 이르기까지 밸류 체인 전체를 재정의하고 있다"고 말했다.
정 회장은 글로벌 파트너십 전략에 대해서도 방향성을 제시했다. 현대차는 최근 미국 GM과 파트너십을 맺고 신차 5종 공동개발 등을 추진하기로 했다. 그는 "이제 협력은 선택이 아닌 필수로, 고객에게 더 나은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도움이 될 때 파트너십을 맺는다"고 밝혔다.
현대차그룹의 경쟁력으로는 혁신 DNA와 고객 중심 경영을 꼽았다. 정 회장은 “혁신은 현대차그룹의 DNA에 내재돼 있고, 가장 중요한 성공 측정의 척도는 항상 고객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정 회장은 지속가능경영을 위한 탄소중립 달성 계획도 제시했다. 정 회장은 "탄소 중립은 단순한 목표가 아니라 책임이고, 2045년까지 탄소 순 배출 제로를 달성하겠다"고 밝혔다. 수소에 대해서도 "세계 에너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가장 유망한 해결책 중 하나로 본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미국의 수입차 관세에 따른 미국 시장 투자 방향에 대해선 "1986년 현대차가 미국 시장에 진출한 이래 지금까지 약 205억 달러를 투자했으며, 올해 초에는 2028년까지 210억 달러를 추가 투자하여 미국 내 성장을 더욱 강화하겠다고 발표했다"고 말했다.
이어 "지난 3월 우리는 조지아 주 서배너에 연간 최대 50만 대의 전기차 및 하이브리드차를 생산할 수 있는 현대자동차그룹 메타플랜트 아메리카(HMGMA)를 준공했다"며 "올해 초 발표한 210억달러 투자는 차량 생산, 공급망 확장부터 루이지애나 주에 새로운 일관제철소 설립까지 모든 것을 포함하며, 직간접적으로 10만개 이상의 일자리를 창출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덧붙였다.
한편, 세계 3위 자동차메이커 수장인 정 회장의 '선호 차종'은 포르쉐 911, 람보르기니 쿤타치, 폭스바겐 골프였다.
정 회장은 "후방 엔진 레이아웃과 지속적인 진화를 통해 911은 스포츠카 세그먼트에서 기술적·감성적 기준점으로 자리 잡았다"며 "람보르기니 쿤타치는 쐐기형 실루엣과 시저 도어를 통해 슈퍼카의 미학을 재정의했으며, 람보르기니 브랜드의 정체성을 확립하고 자동차 디자인의 경계를 넓힌 선구적인 아이콘이 됐다"고 평가했다.
또한 폭스바겐 골프에 대해선 "전 세계적으로 소형 해치백의 기준으로 인정받는 골프는 여러 세대에 걸쳐 실용성과 혁신 사이의 일관된 균형을 유지해왔다"며 "조르제토 주지아로(Giorgetto Giugiaro)가 디자인한 초기 모델은 '형태는 기능을 따른다'는 그의 철학을 반영했다"고 언급했다.
0
0
기사 공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