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기부, 자연재난 대응에 AI·디지털 활용 확대 한다

장정욱 기자 (cju@dailian.co.kr)

입력 2025.08.19 10:01  수정 2025.08.19 10:01

19일 관계자 간담회 개최

디지털 트윈(가상모형)을 통해 살펴보는 댐 방류시 하류 하천 영향 모습. ⓒ환경부

배경훈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은 19일 오전 서울 강남구 도시관제센터에서 간담회를 열어 인공지능(AI)·디지털 기반 자연재난 대응 활성화 방안을 논의했다.


이번 간담회는 최근 기후변화에 따라 폭우·폭염 등 극한 기상 발생 빈도가 증가하면서 자연재난이 복합화되고 피해 규모도 커지는 데 따른 대책 마련을 위한 것이다.


과기정통부는 기존 방식 재난 대응체계가 갖는 한계를 극복하고 피해를 최소화할 방안이 필요하다며 AI 기술이 가진 가능성에 주목하고 있다.


과기정통부는 국무조정실, 행정안전부, 환경부 등 관계 부처와 함께 AI와 디지털 기술을 활용해 자연재난을 효과적으로 예방·대응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AI는 사전에 축적된 재난 데이터와 국토 지리 정보 등을 통합 고려해 기존에 예측하지 못했던 위험을 사전에 파악하고 예방할 것으로 기대한다. 재난이 발생한 상황에서도 피해 범위와 확산 속도 등을 보다 빠르고 정확하게 분석·예측해 추가 피해를 최소화할 것으로 예상한다.


배경훈 장관은 간담회에 앞서 강남구 도시관제센터를 방문해 지능형 CCTV 등을 활용한 도시 재난 대응 현황에 대해 안내를 받고, 일선 관계자들을 격려했다.


간담회에서는 자연 재난 대응을 위해 AI 개발 단계에서부터 실제 현장 적용까지 민간의 기업과 수요 기관들이 직접 겪은 다양한 사례를 공유했다.


간담회에서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은 AI·디지털 기반 수해 예방 및 대응을 주제로 진행한 디지털트윈 기반 도시침수 대응 시스템 개발 사례, 댐 유역 방류 대비 침수 예측 등 물관리 플랫폼 개발 사례 등을 소개했다. 지난해부터 민관협력을 기반으로 고도화한 내비게이션을 통한 홍수기 도로 위험 알림 서비스 등도 안내했다.


토론 시간에는 자연재난 대응 과정에서의 AI·디지털 기술 활용 확산을 주제로 민·관 전문가 논의를 진행했다. 정부는 수요-공급 기관과 기업이 체감하는 AI 기술의 효과와 현장 확산 과정에서 고려할 점 등을 자유롭게 공유했다.


참석자들은 AI 기반 자연재난 대응을 확대하기 위해서는 지자체가 보유한 재난상황 데이터, 국토 정보 등 다양한 고품질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AI 시스템 개발 연구가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개발한 시스템이 현장에서 지속 활용되며 정확도를 향상하고 고도화할 수 있는 시스템도 필요하다고 했다.


더불어 현장 실무 인력들이 AI 시스템을 활용해 재난상황을 예측, 대응하는 데 걸림돌이 없도록 공공 부문 AI 시스템 도입 활성화를 위한 제도적 고민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나왔다.


배 장관은 “기후변화로 인해 자연재난 예측이 어려워지고 피해 규모가 커지는 상황에서 기존 대응체계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열쇠로서 AI의 잠재력에 주목할 때”라며 “AI가 극한 자연재난으로부터 국민을 지키는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자연재난 대응에 AI·디지털 기술 활용을 활성화하는 기반을 마련할 것”이라고 말했다.


0

0

기사 공유

댓글 쓰기

장정욱 기자 (cju@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관련기사

댓글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