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화 국면 조성되면 남북 마주 앉게 되리라 생각"
대남확성기 철거 혼선에 "軍 신중했음 좋았을 것"
정동영 통일부 장관이 "최근 평양에 다녀온 제3국인에게 통일전선부 간판은 없어졌는데, 그 건물 사무실과 사람은 그대로 있다는 이야기를 전해 들었다"고 밝혔다.
정 장관은 18일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전체회의에 출석해 '북한과의 대화를 어떻게 열어갈 계획이냐'는 김상욱 더불어민주당 의원의 질의에 "대화 국면이 조성되면 대화 파트너로서 남과 북이 마주 앉게 되리라고 생각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앞서 북한은 2023년 말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남북관계를 '적대적 두 국가 관계'로 규정한 뒤 통일전선부를 비롯한 대남 조직을 모두 없앤 것으로 전해졌다.
정 장관의 이날 언급한 내용을 봤을 때는 부서 명칭만 뗐을 뿐 인력은 그대로 남아있다고 들었다는 주장이다.
이어 지난 3년 동안 강 대 강 대치 속에 남북관계가 비정상이었다며 "정상화·안정화 조치를 통해 일단 남북 간 대화 채널을 복원하는 것이 급선무"라고 말했다.
그는 대미 관세 협상에서 한국이 미국에 투자하기로 한 3500억원이 북한 1년 국내총생산(GDP)의 10배가 넘는다고 밝혔다.
정 장관은 "9월 3일 중국의 전승절 행사를 전후해서 동북아 지역에서의 여러 가지 정세가 출렁거릴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지만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는 않았다.
정 장관은 "북 입장에서 보면 대한민국 자체가 엄청난 위협"이라며 "남쪽 자체가 위협이라는 북한의 인식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그는 "2019년 2월 28일 하노이에서 김 위원장의 제안을 받았으면 하는 아쉬움이 있다"며 "그랬다면 지금 핵 문제의 지형은 많이 달라졌을 것"이라고 했다.
당시 김 위원장이 주요 대북제재 해제와 영변 핵시설 폐기 등을 맞바꾸자고 제안하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영변외 핵시설까지 협상대상으로 요구한 바 있다. 이에 북한이 응하지 않자 하노이 회담은 결국 '노딜'로 끝났다.
그는 북한이 대남 확성기를 철거했는지를 두고 혼선이 빚어진 데 대해 "(우리 군 당국이) 신중했으면 좋았을 것이라는 것은 일리가 있다"고 밝혔다.
정 장관은 우리의 대북 확성기 방송 중단에 북한도 대남 소음방송을 중단하면서 접경지 주민이 편안하게 잠들 수 있게 된 게 본질이라고 강조했다.
앞서 합동참모본부는 지난 9일 북한이 전방 일부지역에서 대남 확성기를 철거하고 있다고 밝혔다. 다만 김여정 북한 노동당 부부장은 14일 담화를 통해 "확성기들을 철거한 적이 없으며 또한 철거할 의향도 없다"고 선을 그었다.
0
0
기사 공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