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 스마트 제어 충전기 준공 검사 진행…연말까지 전면 확대

김소희 기자 (hee@dailian.co.kr)

입력 2025.08.05 14:38  수정 2025.08.05 14:38

과충전 방지·배터리 정보 분석 가능

자동 요금부과·양방향 충전 기능 도입 추진

환경부 전경. ⓒ데일리안DB

환경부가 전기차 충전 중 배터리 정보 수집과 실시간 제어가 가능한 스마트 제어 충전기의 준공 검사를 진행 중이다. 연말까지 전국 모든 충전기 설치를 마치고 본격적인 서비스 확대에 나설 계획이다.


환경부는 스마트 제어 충전기 설치가 완료돼 지난 7월 21일부터 준공 검사를 진행 중이라고 5일 밝혔다.


스마트 제어 충전기 구축 사업은 2024년부터 시작돼 32개 사업에서 총 4만2032기의 충전기가 설치되고 있다. 현재 4개 사업, 1만1039기의 준공 검사가 완료됐으며, 환경부는 연말까지 전체 사업에 대한 검사를 마칠 계획이다.


스마트 제어 충전기는 전기차 배터리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해 충전을 능동적으로 제어하는 장치다. 이를 통해 과충전을 방지하고 전기차 배터리 관리시스템(BMS)과 함께 안전 이중장치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충전 중 수집된 배터리 정보를 분석해 화재 원인 규명과 배터리 이상 징후 진단에도 활용할 수 있다.


환경부에 따르면 스마트 제어 충전기는 ▲실제 차량을 이용한 충전제어 기능 ▲충전량(SOC) 표출 ▲목표 충전량 설정 ▲목표 충전량 도달 시 충전 자동 종료 및 재충전 방지 ▲배터리 정보 암호화 및 무공해차 누리집 전송 ▲충전기 무선 업데이트 기능 등을 지원한다.


아울러 통신 기능을 활용해 자동 요금부과(PnC), 양방향 충전·방전(V2G), 무선충전(WPT), 충전케이블 자동 연결(ACD) 등 다양한 편의 기능 도입도 가능하다.


다만 충전제어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전기차에서 배터리 충전량 정보(SOC)를 충전기에 제공해야 한다. 이를 위해 환경부는 전기차 제작·수입사와 협의를 거쳐 2026년 1월 1일까지 차량 통신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를 진행하기로 합의했다. 환경부는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적용 일정에 맞춰 실제 작동 여부를 점검할 계획이다.


류필무 환경부 대기미래전략과장은 “스마트 제어 충전기를 통해 충전 제어뿐 아니라 배터리 이상 징후를 조기 진단하고, 자동 요금부과(PnC)와 양방향 충전·방전(V2G) 등으로 활용 범위를 확대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0

0

기사 공유

댓글 쓰기

김소희 기자 (hee@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관련기사

댓글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