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상의, '디지털 배지' 도입…직업계고 학생 취업 돕는다

편은지 기자 (silver@dailian.co.kr)

입력 2025.07.06 12:50  수정 2025.07.06 12:50

고졸 인재 채용 시 직업기초능력평가활용 의향ⓒ대한상공회의소

대한상공회의소는 교육부와 공동으로 오는 8~11일 전국 571개 직업계고 3학년을 대상으로 ‘2025년 직업기초능력평가’를 시행한다고 6일 밝혔다.


이는 직업계고 실무 기반 역량을 객관적으로 진단해 학생들의 진로 설계와 기업의 고졸 인재 채용을 돕기 위해 지난 2015년 도입됐다. 특히 올해 접수인원은 6만2390명으로 지난해(5만8711명) 대비 6.3% 늘었다. 직업기초능력평가에 대한 학교 현장의 수요가 늘고 있다는 의미다.


평가 내용은 ▲의사소통(국어) ▲의사소통(영어) ▲수리 활용 ▲문제 해결 ▲직무 적응 등 5개 영역이다. 국가직무능력표준(NCS)의 직업기초능력을 모두 포함한다.


또 실제 근무 환경에서 요구되는 정보 탐색력, 분석력, 상황판단력 등을 평가하는 문항으로 구성해 기업들이 학생들의 실무 기반 문제해결 능력을 검증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올해부터는 평가 결과가 종이 출력물 형태에서 디지털 배지 발급으로 바뀐다. 학생들이 취업 현장에서 실질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취업 지원 기능을 강화한 것이다.


대한상의는 다음달 말부터 디지털 배지를 ‘고용24’(고용노동부 고용서비스 포털)와 연계할 계획이다. 기업들은 디지털 배지를 통해 지원자의 의사소통, 수리 활용 등 실무 역량을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다.


현재 한국관광공사, 한국주택금융공사, 한국항공우주산업, DB하이텍, 크라운제과 등 주요 기업들은 실제 고졸 인재 채용 때 직업기초능력평가를 활용하고 있다.


대한상의가 올해 5월 실시한 조사에 따르면 응답 기업의 66.3%는 향후 고졸 인재 채용 시 직업기초능력평가 결과를 활용할 의향이 있다고 답했다. 대한상의는 연 1회 시행되는 평가를 연 2회로 확대 시행하는 방안을 최근 정부에 건의했다.


안성호 대한상의 인재교육지원팀장은 “직업기초능력평가를 채용에 활용하는 기업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며 “기업들이 신뢰할 수 있는 평가 체계를 구축해 고졸 채용 문화 확산을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했다.

0

0

기사 공유

댓글 쓰기

편은지 기자 (silver@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관련기사

댓글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