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용부, 맞춤형 데이터풀 도입
핵심 고용데이터 7종 제공
정책 수립 데이터 활용 강화
연구자들이 고용행정데이터를 활용하기까지 평균 3주 이상 걸리던 사전 협의 절차가 간소화된다. 그동안 고용행정데이터 수요는 꾸준히 늘어난 반면, 신청 과정에서 비효율과 접근성 한계가 지적돼 왔다. 이에 정부는 데이터 이용 체계를 전면 개편한다는 방침이다.
고용노동부는 25일 제5차 ‘고용행정데이터 정책심의위원회’를 열고 ‘맞춤형 데이터 풀’ 제도를 도입한다고 밝혔다.
맞춤형 데이터 풀은 구인·구직, 고용보험, 직업훈련 등 고용행정데이터를 쉽고 빠르게 활용할 수 있도록 개편한 제도다. 오는 8월부터 시행된다.
그동안 고용행정데이터는 이용 신청 전, 연구자가 원하는 데이터를 탐색하고 사전 협의하는 데 평균 3주 이상 소요돼 불편과 시간 지연 문제가 제기돼 왔다. 이에 고용부는 데이터 이용자 중심 접근성을 강화하기 위해 사전에 데이터 유형과 항목을 정리한 ‘맞춤형 데이터 풀’을 구축했다.
수요가 많았던 ▲고용보험 가입 사업장 현황 ▲고용보험 피보험자 현황 ▲구인·구직 정보 등 7종(137개 항목)의 핵심 데이터를 중심으로 구성됐다. 데이터 간 결합 분석이 가능하도록 개인 및 사업장 식별키도 포함해 제공된다.
이용자는 8월부터 ‘고용노동데이터분석시스템’ 내 연구신청 화면을 통해 원하는 데이터 풀과 항목 등을 선택해 신청할 수 있다.
조정숙 고용지원정책관은 “이번 조치는 연구기관, 대학, 정책연구단체 등에서 고용정책 수립과 노동시장 분석에 고용행정데이터를 더욱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라며 “앞으로도 수요자 관점에서 데이터 개방과 절차 혁신을 지속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0
0
기사 공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