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 대통령·한 총리, 올해 마지막 주례회동서 내년도 국정운영 방향 논의
새해 예산안 국회 상황 보고서도 내년도 예산, 민생·개혁법안 '빠른 확정' 강조
귀국 후 '경제 개선'과 '취약계층 지원' 줄곧 강조…사실상 '선거 모드' 돌입
윤석열 정부가 올해를 보름여 남겨두고 다시 한 번 민생 안정을 위한 드라이브를 걸고 있다. 올해 마지막 순방인 네덜란드 국빈방문을 마치고 귀국 후 추가 개각 단행 외 물가 안정 등 현안 해결에 집중하는 모습이다. 내년 총선을 앞두고 '경제 활성화'에 무게를 싣고, 몸을 낮추며 '총선 레이스'에 본격적으로 뛰어들었다는 분석이다.
윤석열 대통령은 취임 후 줄곧 자유민주주의라는 가치를 강조하며 국정 드라이브를 걸었다. 그러나 서울 강서구청장 보궐선거 패배와 2030 세계박람회(부산) 유치 실패 등으로 국정 운영방식에 비판이 제기되자 정책 역량을 대폭 강화하고 '민생'에 드라이브를 걸었다. 동시에 연말 개각 개편을 통해 정부 2기 전환의 발을 뗐다.
일례로 네덜란드 국빈방문 중 이관섭 대통령실 정책실장과 장상윤 사회수석은 지난 12일 부임 후 처음으로 민생현장을 찾았다. 이는 윤 대통령의 "현장을 다니며 민생을 파악하라"는 지시 이후다.
윤 대통령은 18일 진행한 한덕수 국무총리와의 주례회동에서도 내년도 국정운영 방향에 대해 논의하고, 내각에 민생 살피기를 당부했다.
윤 대통령은 한 총리에게 "올해는 경상수지 흑자가 300억불(약 39조원)이 예상되고, 내년에는 경상수지·성장·고용·물가 등 거시지표가 더 나아질 것으로 전망된다"며, 국민이 경제 개선을 체감할 수 있도록 더욱 분발할 것을 강조했다.
또한 청년,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주거·교육·복지에 대한 치밀한 지원 대책을 강력히 추진하고 한파가 몰아치는 동절기에 취약계층에 대한 민생 지원을 빈틈없이 할 것을 지시했다.
국정운영도 "부처 간 칸막이를 과감하게 허물고, 과제 중심으로 부처 간 협력체계를 강화하라"며 재차 강조했다. 이에 따라 대통령-총리실로 이어지는 업무수행 방식이 부처 중심에서 과제 중심으로 변화할 전망이다.
민생과 가까운 내년도 예산안과 민생·개혁법안은 이른 시일 내 확정될 것으로 보인다. 이날 윤 대통령은 새해 예산안 국회 상황 보고에서 "지난 9월, 내년도 예산안을 국회에 제출했으나, 오늘로 헌법이 정한 기한이 보름 넘게 지났다"면서 민생의 어려움을 덜 수 있는 내년도 예산안과 민생·개혁법안의 빠른 확정을 당부했다.
정치권 관계자는 "대통령 본인의 의지도 있고, 여러 어려운 상황에도 민생을 중요시한다는 메시지를 보여주는 것 같다"며 "외교 성과와는 다른 결의 행보가 이어질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0
0
기사 공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