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선거 9개월 남짓 앞두고
중도 인선 띄우고, 韓 정조준
강성층 달래기 성격 뚜렷에
내부에서는 회의적인 시각도
중도 노선으로 선회하고 있다는 평가를 받는 장동혁 국민의힘 대표가 한동훈 전 대표 관련 문제에 대해서는 엄격한 태도를 견지하면서 행보의 방향을 두고 해석이 엇갈리고 있다. 계파에 얽매이지 않은 중도 확장형 인사를 중용하며 인선을 통해 외연 확장의 메시지를 던지는 동시에, 한 전 대표를 비롯한 친한계에 대해서는 일정한 압박 수위를 유지하는 셈이다.
정치권에서는 실질적인 압박보다는 강성 지지층을 달래기 위한 메시지 성격이 짙다는 점을 짚으며 강성층과 중도층을 동시에 잡으려는 '투 트랙' 전략을 구사하고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친한계 역시 이런 행보를 의식한 듯 담담한 반응을 보이면서도, 장 대표가 중도를 내세운다 해도 선거 승리로 이어지기는 어렵다는 회의적 시각을 보이고 있다.
국민의힘은 8일 정책역량 강화를 위해 정책위 수석부의장에 박수영 의원을, 부의장에 친한계 김형동 의원을 임명했다.
또 내년 지방선거를 대비해 당 사무처에는 미래전략국을 신설하며 이호근 국장을 기용했다.
이 국장은 국민의힘 강원도당 사무처장과 이준석·한동훈 지도부에서 기획조정국장과 당대표 비서실 부실장을 역임한 경력이 있다. 중도 성향의 화합·조정 역할을 맡아온 인물로, 2022년 지방선거와 대선에서도 전략 전문가로 활약한 바 있다. 장 대표가 지방선거 승리를 목표로 중도 외연 확장에 방점을 찍었음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강성층 '최대 적' 한동훈 다시 겨냥
원외 친한계 스피커까지 압박
그러나 장 대표는 강성층을 향한 선명한 메시지도 병행했다. 한동훈 전 대표에 대한 압박을 유지하는 것과 동시에 친한(한동훈)계 '스피커' 제어에 나선 것이다.
앞서 당선 직후 한 전 대표 관련 언급을 자제하던 장 대표는 최근 언론 인터뷰에서 "전당대회 과정에서 나를 최악이라고 표현한 분과 어떤 통합을 하고, 어떤 정치를 함께할 수 있겠느냐"며 한 전 대표를 직격했다. 지난해 11월 당원 게시판에 윤석열 전 대통령 부부 비방글이 올라온 사건과 관련해서도 한 전 대표 가족이 연루됐다는 의혹의 사실관계를 밝히겠다고 나섰다.
또 "방송에서 의견을 가장해 당에 해를 끼치는 발언을 하는 것도 해당행위"라며 "당원이면서 국민의힘 명찰을 달고 패널로 나간 분이 그렇게 하는 경우 제명을 포함해 가장 강력한 조치를 하겠다"고 경고했다.
이는 내부적으로는 원내 친한계 의원보다는 당 밖에서 활동하는 원외 인사들을 겨냥한 발언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또 이들의 영향력을 제한할 수 있는 '패널인증제도'는 조만간 시행될 가능성이 크다.
원내 지도부 관계자는 "외부에서 당을 비난하는 인사들에 대한 조치 필요성은 꾸준히 제기돼 왔다"며 "패널인증제도는 시행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미 장 대표의 적대적 태도에 일정 부분 면역이 생긴 친한계 역시 장 대표의 스탠스에 크게 동요하지 않는 모양새다. 오히려 장 대표가 중도 노선을 표방한다 해도 실제 선거 승리로 이어지기는 어렵다는 냉정한 시각을 보내고 있다. 극단 성향 유튜버 전한길 씨와 손을 잡은 장 대표의 이미지가 굳어진 만큼 '극우 정당' 프레임을 벗어나기 쉽지 않다는 것이다.
친한계 의원은 "장 대표의 압박성 발언은 늘 있어왔기에 새삼 놀랍지도 않다. 중도로 방향을 튼다고 해도 얼마나 효과가 있을지는 의문"이라며 "이미 장 대표 하면 전 씨가 떠오르는 상황이 벌어지고 있지 않느냐"고 꼬집었다.
이어 "김형동 의원이 직을 수락한 것은 당을 위한 선택이었겠지만, 그것이 곧 당의 이미지 변화로 이어질 것이라 기대하긴 어렵다"고 부연했다.
0
0
기사 공유
댓글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