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합 "'대중교통 환승통합거리비례제' 정산 방식 탓에 만성 적자 시달려" 주장
재정 안정화 차원서 시에 재정지원 기준액과 요금 인상 요구
서울시마을버스운송사업조합은 서울시가 재정 지원 요구를 받아들이지 않으면 대중교통 환승 체계에서 탈퇴하겠다고 밝혔다.
조합은 27일 오후 1시 서울시의회 본관 남측에서 조합 창립 이후 처음으로 전 조합사인 140개 사의 대표가 참여하는 긴급 총력 집회를 개최했다.
현재 조합은 만성 적자에 시달리고 있는데 이는 2004년 7월 체결한 '대중교통 환승통합거리비례제'의 정산 방식에서 비롯됐다고 주장했다. 민영인 마을버스는 대중교통 환승 손실금 가운데 일부만 보전받기 때문이다.
조합에 따르면 승객이 마을버스에서 다른 대중교통으로 갈아타면 마을버스에 정산되는 요금은 676원으로 기본 요금 1200원 대비 승객 1인당 524원의 손실을 보는 구조다. 이에 조합은 재정 안정화 차원에서 시에 재정지원 기준액과 요금 인상을 요구하고 있다.
재정 지원 확대 요구가 받아들여지지 않을 경우 9월1일부터 환승 체계 이탈을 검토할 수밖에 없다는 게 조합의 입장이다.
이날 집회에서 조합은 재정 지원 확대와 관련한 6가지 세부 요구 사항을 오세훈 서울시장에게 전달할 계획이다. 6가지 요구안은 ▲대중교통 환승통합거리비례제 운임정산 합의서 개정 ▲2025년 재정지원기준액 및 한도액 결정 ▲운송원가 현실화 ▲요금인상 위한 실무협의회 구성 ▲재정지원금 산정 체계 개선 ▲서울시와 실무 협의다.
김용승 조합 이사장은 집회에 입장문을 통해 "시가 마을버스의 요구 사항을 끝까지 외면한 채 책임을 회피한다면 결국 환승 탈퇴를 강행할 수밖에 없다"고 주장했다.
한편 시는 준공영제 시내버스와 달리 민영업체인 마을버스를 지원할 의무는 없다는 입장이다.
0
0
기사 공유
댓글
댓글 쓰기